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에서 2024년 10월 27일부터 새벽 해돋이 관람이 가능하도록 관람시간을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성산일출봉은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관광지로, 인류 전체를 위하여 보호해야 할 현저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현재 1일 평균 5,000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방문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2021년(1,095천명), 2022년(1,427천명), 2023년(1,544천명), 2024년 9월(1,326천명)

성산일출봉의 유명한 기암괴석과 아름다운 풍광에 더해서, 수평선에서 떠오르는 장엄한 일출을 관람객들이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람시간을 조정합니다.

이를 통하여 영주 10경 중 으뜸으로 꼽히는 '성산일출'을 직접 볼 수 있어, 세계 자연유산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해돋이 명소로 위상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번 조치는 관람객의 입산과 하산 시간에 맞추어 운영하며, 안전사고 예방과 쾌적한 탐방환경 조성을 위한 것입니다.

○ 관람 시간 조정 비교표

구분 관람시간 (당초) 구분 관람시간 (조정)
1~2, 10~12 07:30~18:00 1~2, 11~12
(동절기)
06:00~18:00
3~4, 9~10
(춘추)
05:00~19:00
3~9 07:00~19:00
5~8
(하절기)
04:30~20:00

 


강석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관람시간 조정으로 관람객들이 해돋이를 볼 수 있게 돼 성산일출봉이 명실상부한 해돋이 명소로 자리매김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관람객의 안전을 지키고 세계자연유산의 가치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2015년 12월 31일(목) 오전 06시00분 현재 제주지역의 기상상황을 아래와 같이 발표했습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www.jeju.go.kr/

★ 해넘이와 해돋이 전망

● 12월 31일 해넘이 : 구름이 많아 해가 지는 모습은 보기 어렵겠음.
   지역별 해넘이 시간(예상)은 제주(북) 17:36, 서귀포(남) 17:36, 성산(동) 17:35, 고산(서) 17:38


○ 1월 1일 해돋이 :  구름사이로 볼 수 있겠음.
   지역별 해돋이 시간(예상) 제주 07:38, 서귀포 07:37, 성산 07:35, 고산 07:39



◎ 오늘의 기상개황(2015.12.31.)

○ 육상 : 제주도와 추자도, 이어도는 구름 많겠음.
          낮 최고기온 제주 10도, 서귀포 12도 등 10도에서 12도로 어제와 비슷하겠음.
   * 낮 동안에는 산발적으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고, 산간에는 눈이 날리는 곳이 있겠음.
   * 산간에는 아침까지 눈이 쌓이는 곳이 있겠으니, 중산간 이상의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들은 교통안전에 각별히 유의.
   * 또한 낮부터 밤사이에 연무가 끼는 곳이 있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

○ 해상 : 제주도전해상과 남해서부먼바다에서 1.0∼2.5m로 일겠음.
   * 해상에는 북서풍이 강하게 불고 물결이 높게 일겠으니, 항해나 조업하는 선박은 주의.
   * 미세먼지(PM10) 예보 : 제주권 ‘보통’


◎ 내일의 기상개황(2016.1.1.)

○ 육상 : 제주도와 추자도, 이어도는 대체로 맑다가, 밤에 구름 많아지겠음.
          아침 최저기온 제주와 서귀포 5도 등 3도에서 6도.
          낮 최고기온은 제주 11도, 서귀포 13도 등 11도에서 13도.

○ 해상 : 제주도전해상과 남해서부먼바다에서 1.0∼2.5m로 일겠음.
   → 미세먼지(PM10) 예보는 31일 17시에 발표


◎ 기상특보 : 없음


◎ 연륙 교통상황
   항공기 : 정상 운항
   한라산 등반 : 정상 등반
   여객선 : 정상 운항
   도항선 : 정상 운항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