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2024년 10월 2일부터 10월 10일까지, 서귀포예술의전당 전시실에서 '시선의 기억: 감각의 재구성' 기획전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회화, 설치, 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기억과 감각을 재해석하는 것을 내용으로, 도내.외 작가 23명의 작품 53여 점을 선보입니다.

전시는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장르)의 작품을 통하여 작가들 각자의 독창적인 시각과 예술적 언어로 기억과 감각을 시각화합니다.

이번 전시의 감독(디렉터)인 오민수 작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시선과 감각을 통해 경험하는 일상의 순간들이 예술을 통해 재구성되는 과정을 조명하고자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강민영 작가는 일상의 풍경을 기록하고 그 기억을 행위로 담아 냈으며, 강은종 작가는 일상의 찰나를 흙으로 표현하여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을 표현합니다.

고순철 작가는 ‘소금정원’을 통해 시간과 기억의 흔적을 표현하고, 권미정 작가는 변화하는 정체성을 캐릭터를 통해서 시각화합니다.

박도연 작가는 한국과 중국의 공예 유물을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하고, 윤대희 작가는 실재하는 풍경과 상상적 풍경의 경계를 탐구합니다.

★ 참여 작가 명단
강민영, 강은종, 고순철, 권미정, 김미령, 김소연, 문혜란, 박길주, 박도연, 박순민, 박준규, 박진영, 손승범, 양형석, 오민수, 윤대희, 이승희, 이율주, 이재림, 조정아, 한아, 현혜정, 홍시야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서귀포예술의전당 누리집(https://culture.seogwipo.go.kr/artcenter/)을 확인하거나,
전화(064-760-3372)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서귀포예술의 전당 관계자는 “ 자연과 풍경에서 영감을 받은 작가들의 다채로운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깊은 예술적 울림과 감각적 체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서귀포시 기당미술관은 작품을 시대별 소개하는 전시인 '소장품으로 보는 제주미술 변천사2'를 2024년 5월 9일부터 7월 7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합니다.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제주미술 흐름을 살펴보는 시간으로 이왈종, 오승익, 김방희, 박성진, 김연숙, 이창희, 문창배, 강주현, 김산 작가 등의 작품 30여 점을 소개합니다.

★ 기당미술관 공식 누리집 https://culture.seogwipo.go.kr/gidang/

이번 전시는 기당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 중심으로, 제주미술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출품 작가들은 제주미술의 흐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들의 사상과 교육관, 구성기법 등의 영향을 받은 후학들이 제주미술에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전시는 작가의 활동시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980년대는 전시공간이 본격 확산하던 시기로, 미술 전공 작가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이전과는 다른 변화를 모색하던 시기였습니다.

1990년대는 미술 단체(협회)를 많이 만들던 시기로, 제주대학교의 미술학과 변경은 전문 미술인 양성의 시발점이자, 작품 창작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단단하게 만드는 기회였습니다.

2000년대는 도내 공립미술관 개관이 마중물이 되어, 다양한 사설 화랑(갤러리)과 미술관이 잇달아 문을 여는 시기였습니다. 미술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고 작품을 발표할 기회가 늘어나는 시기였습니다.

2010년도 이후 제주는 미술관 중심의 기획 전시는 물론, 비엔날레, 아트페어같이 특별한 미술 감상 기회를 확장하는 시기였습니다. 미술작품은 더 이상 특정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호텔, 카페 등 다양한 장소에서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거듭났습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미술관의 소장작품으로 제주 현대미술의 흐름을 알아보는 기회이다. 미술관이 보유한 작품을 통해 지역작가의 작품의 가치와 작가들의 위치와 역할, 작품의 변화과정 등을 학습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미술관의 역사와 함께 할 제주미술의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내는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수집되기를 고대하며 다양한 주제전을 통하여 소개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