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5월부터 대중교통 취약지역(읍면)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운영중인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수단 '옵서버스'의 운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배차간격 1시간 이상, 1일 평균 이용객 80명 이하인 공영버스 노선을 대상으로, 노선 형태와 시간대별 이용객 현황 등을 종합 분석하여 '옵서버스' 전환 노선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2023년 애월읍과 남원읍에서 시작한 시범운영은 지역주민들의 호응을 얻은 바 있습니다.
이에 2024년 한림읍, 한경면, 성산읍, 표선면 등 4개 권역을 추가하여, 현재 6개 권역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실시한 관찰조사(모니터링) 결과, 옵서버스 도입으로 이용객의 평균 대기시간이 61분에서 14분으로 47분이 단축되었습니다.
버스 운행거리도 하루 평균 2,116킬로미터(㎞) 감소하여 운영 효율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는 현재 6개 읍면 14개 노선의 옵서버스를 7개 읍면 23개 노선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제주버스 정보 시스템 공식 누리집 http://bus.jeju.go.kr/


기존 운영지역인 애월읍은 운행구간을 25.4평방킬로미터(㎢)에서 44.1㎢로, 성산읍은 57.1㎢에서 120.1㎢로, 표선면은 21.2㎢에서 76.9㎢로 각각 확대합니다.
여기에 구좌읍 81.3㎢를 신설 추가합니다.

◎ 2025년 옵서버스 확대지역 노선도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2023년 10월부터 시작된 옵서버스가 3년 차를 맞아 7개 읍면으로 확대되면서 이용객 증가 및 운영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도내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옵서버스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대중교통 소외 지역의 이동권 보장을 위하여 '수요응답형 대중교통 수단'인 '옵서 버스' 운영을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제주시 애월읍'과 '서귀포시 남원읍' 권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옵서버스를 제주시 한림읍, 한경면, 서귀포시 성산읍, 표선면 권역까지 확대 운영합니다.

이번 확대 지역은 공영버스 노선 중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고, 1일 평균 이용객 수가 80명 이하인 노선을 대상으로하여 노선 형태, 시간대별 이용객 현황 등을 종합 분석해 선정한 것입니다.

★ 버스운행 및 이용객 수요 조사 내역
○ 한림읍 783-1번, 783-2번 노선 : 운행대수 각 1대, 배차간격 2시간, 1회 운행 50분 소요, 대당 일평균 이용객 주중 76.5명, 주말 40명
○ 한경면 772-1번, 772-2번 노선 : 운행대수 각 1대, 배차간격 1시간, 1회 운행 45분 소요, 대당 일평균 이용객 주중 61명, 주말 36명
○ 성산읍 721-2번, 721-3번 노선 : 운행대수 각 1대, 배차간격 2시간, 1회 운행 1시간 소요, 대당 일평균 이용객 주중 48명, 주말 38명
○ 표선면 731-1번, 731-2번 노선 : 운행대수 각 1대, 배차간격 1시간 10분, 1회 운행시간 30분, 대당 일평균 이용객 주중 53명, 주말 25.5명

제주도는 4개 읍․면의 8개 노선을 통합하여 효율적인 옵서 버스 운영권역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를 통하여 수요가 없는 구간의 불필요한 운행을 줄이고, 실제 버스를 필요로 하는 지역주민들의 이동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범운영(2023년 10월 27일 ~ 2024년 6월 30일) 결과,
배차간격은 애월읍 수산권역의 경우 평균 60분에서 16분, 남원읍 태흥권역은 43분에서 11분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또한, 노선버스 일평균 운행거리는 옵서버스 도입 전 2,290킬로미터(㎞)에서, 도입 후 1,954킬로미터로 336킬로미터 감소하였습니다.

읍.면 지역의 고령층 승객을 배려하여, 오전에는 기존 노선버스를 그대로 운행하고, 고령층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오후 2시 이후부터는 옵서버스를 운영합니다.

옵서버스의 이용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며, 전화나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호출하는 방식입니다.
승객이 호출하면 배차하여 승객을 태우고 최단 거리로 이동합니다.

단, 한림읍 권역의 경우, 한림에서 동광까지 약 17킬로미터 장거리 운행인 점을 고려하여, 사전 예약방식을 도입합니다.

사전 예약방식은 승객이 버스 이용을 원하는 시간 최소 30분 전에 30분 단위로, 이용 가능한 시간을 선택하면 탑승 30분 전에 정확한 탑승시간과 정류장을 안내받는 방식입니다.

스마트폰 앱(플랫폼)에서 예약한 승객을 모아 노선을 최적화하여 배차하고 운행합니다. 

★ 예시 : 현재시간이 13:10 인 경우
 → 예약가능 시간 : ▶ 14:00 ~ 14:30, ▶ 14:30 ~ 15:00, ▶ 15:00 ~ 15:30 중 선택

옵서버스 예약 탑승제는 기존 호출형 탑승제의 동시 호출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30분 단위로 호출한 승객을 모아 동승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운행거리가 길어 호출 대기시간 문제로 옵서버스 도입이 어려웠던 노선에도 적용할 수 있어, 앞으로 더 다양한 노선에서 옵서버스 운영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 참고 사진 : 현재 운행중인 옵서 버스 모습


옵서버스의 확대 운영에 따라 고령층 이용 편의를 위하여 전용상담전화(콜센터)를 설치.운영할 계획입니다.
도민으로 구성한 상담원들이 대중교통 이동 안내 역할을 담당할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옵서버스 확대 운영에 따른 주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난 6월 24일부터 30개 마을을 순회하며 주민설명회를 열어, 옵서버스의 이용방법을 상세히 안내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습니다.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대중교통 소외지역에 옵서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용자와 지역 여건 등에 따라 옵서버스 운영에 필요한 개선사항을 꾸준히 발굴해 도민들이 이동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이용자 수요에 따라 버스를 호출하는 '제주 수요응답형(Demand Responsive Transit;DRT) 플랫폼 서비스'를 2023년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수요응답형 버스는 대중교통 수요가 적은 교통취약 지역에 고정형(정기운행) 버스노선을 배치하는 대신,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호출하는 체계(시스템)를 통하여 노선, 정류소, 운행시간 등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대중교통 수단입니다. 

제주도는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 일원 및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일원 등 2개 지역을 시범구간으로 정하고, 2023년 9월부터 6개월 간 수요응답형 버스 시범 운영을 진행합니다. 

이용객이 몰리는 혼잡시간대에는 기존 고정노선 방식으로 배차시간표대로 운행하며, 그 외에는 실시간 수요응답형 방식을 적용하여 이용자가 호출하면 버스가 승객이 있는 곳으로 찾아갑니다.  

버스 호출방식은 이용객의 다양한 연령대를 고려하여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하거나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호출하는 방법을 병행합니다.

제주도는 이번 수요응답형 버스 시범 운행을 통해 읍․면 교통취약지역의 비효율 노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체 대중교통 수단의 가능성을 살피고, 지속점검(모니터링) 등으로 효과를 분석하여 도내 전 지역 확대 여부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제주 수요응답형 플랫폼 서비스 시범운영 사업’을 위한 민간사업자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시행하였습니다. 

공고기간은 2023년 8월 4일 ~ 14일, 제안서 접수기간은 8월 10일 ~ 14일로, 제주도청 대중교통과에 직접 접수해야 합니다.

접수된 제안서는 별도로 구성한 평가위원회에서 정량평가, 정성평가를 거치고 입찰가격 평가점수를 합산하여 고득점 1순위 업체를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해 계약을 진행합니다.

강석찬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이번 수요응답형 버스 시범 운영을 통해 읍면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중교통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