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버스 운영 효율화와 재정 절감을 위하여 2024년 8월 1일부터 버스 노선 개편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편은 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온 재정지원액에 대응하고, 대중교통 편의(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입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수요에 맞춘 효율적인 버스 운영'입니다.

우선, 통학 및 통근 시간대를 고려한 맞춤형 버스를 10개 노선에 14대 투입합니다.

또한, 크루즈 관광객을 위한 전용 버스를 8월 한 달간 시범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시간대와 특정 승객층의 수요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주시 도심급행버스의 성공적인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서귀포시에도 동.서 지역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급행버스를 새로 도입합니다.
 
특히, 서귀포시 도심 급행버스(500번)는 대정-남원 구간에서 12개 정류소만 정차하여, 기존 일반 간선버스보다 15분 이상 빠르게 이동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제주시 도심급행버스 도입 후 1개월 평균 이용객 수 4만 9,213명(68퍼센트(%)) 증가

★ 500번 서귀포시 도심 급행버스 노선도


장거리 노선 단축도 진행합니다.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버스터미널까지 약 90킬로미터(㎞)에 달하는 장거리 노선을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운행시간을 단축하고, 연료 소비를 줄일 계획입니다.

중복 노선과 비효율 노선도 개선합니다.

노선 간 중복 구간이나 이용 수요가 적은 비효율 노선을 통폐합 또는 폐지하여 준공영버스의 운영 효율화를 도모합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지역 혼잡 구간에서는 일반간선버스(200번대)의 정차 정류소를 축소 지정하고,
출발지와 도착지가 같은 중복 노선의 경우 출발 시간 배차간격을 조정해 효율성을 높입니다.

★ 버스 노선 개편 현황표


제주도는 2021년 11월 ‘버스 준공영제 성과평가 및 개선방안 용역’에 착수하여 준공영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했으며, 이 과정에서 운수업체와 감차에 합의해 이번 노선 개편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지역별 설명회를 통한 주민 의견 수렴, 전문가 자문, 대중교통 운수업체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2023년 3월 버스 준공영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버스 준공영제의 개선방안으로 장거리 노선 단축 및 도심급행버스 도입, 중복.비효율 노선 감차, 출퇴근.통학 시간대 맞춤형 버스 투입 등을 주요 방안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운수업체와의 버스 감차 협상을 본격화하였습니다.

2023년 9월부터 제주도와 운수업체가 집중 협상을 벌인 끝에, 지난 2024년 6월 총 72개 노선에서 64대를 감차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러한 감차 합의는 재정 절감과 효율적인 노선 운영을 위한 중요한 돌파구가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58개 노선에서 43대를 감차하고, 재정지원 배제 등으로 14개 노선에서 21대를 감차합니다.

이로 인한 재정지원금 절감액은 연간 152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10년간 1,783억 원, 20년간 4,299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기대합니다. 

제주도는 이번 대규모 노선 개편으로 인한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종합대책을 마련하였습니다.

다양한 매체를 통한 사전 홍보를 강화하고, 도 자체 상황실을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주말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해 실시간 민원 처리와 불편사항 개선에 나설 예정입니다.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이번 노선 개편은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동시에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하며, “혼잡시간대 운행시간 조정 및 맞춤형 버스 추가 투입 등을 통해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며, “새로운 노선 체계에 적응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더 나은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도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 의견을 반영하여 제주시내 대중교통 수요가 많은 구간에 '도심 급행버스' 3개 노선을 신설하고 2023년 6월 28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버스 서비스의 품질과 재정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노선 개선과 운영효율화를 중심에 둔 버스 준공영제 성과평가 및 개선방안 용역을 진행하고,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실행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신설 급행버스 노선은 지난해(2022년)와 올해 2월까지 14회에 걸친 권역별 도민 설명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한 것입니다.

제주도는 1단계 실행계획으로 교통량이 집중되는 제주시 동서축 및 남북축에 3개 급행노선을 우선하여 신설했습니다. 

제주시 동서축(300번, 301번 버스)은 함덕 신사동과 하귀초등학교를 연결하는 28.5킬로미터(㎞) 길이의 노선으로, 일일 편도 66회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1시간 20분으로 기존 노선보다 최대 14분 단축됩니다.
  ※ 300번은 제주보건소, 301번은 제주버스터미널 경유

제주시 남북축(302번 버스)은 제주국제공항과 제주국제대학교를 순환하는 15.3㎞ 노선으로 일일 편도 74회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1시간 20분으로 기존 노선보다 10분이 단축된다.

★ 도심급행버스 지정 정류소 현황
 ▷ 300번(연삼로) : 신사동-함덕해수욕장-함덕고등학교-조천리사무소-신촌초등학교-삼양초등학교-화북남문-오현고-천수동-동광양-제주시청-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보건소-신제주로터리-한라병원-노형오거리-S중앙병원-외도초등학교-하귀초등학교(19개소)

 ▷ 301번(서광로) : 신사동-함덕해수욕장-함덕고등학교-조천리사무소-신촌초등학교-삼양초등학교-화북남문-오현고-천수동-동광양-제주버스터미널-신제주로터리-한라병원-노형오거리-S중앙병원-외도초등학교-하귀초등학교(17개소)

 ▷ 302번(남북축) : 제주국제공항–용문사거리-서문시장-중앙로사거리-제주시청-제주여자중고등학교-제주대학교병원-첨단과학단지-국제대-첨단과학단지-제주대학교병원-제주여자중고등학교-제주시청-중앙로사거리-서문시장-용담사거리-제주국제공항(16개소)

3개 급행버스 노선은 정차 정류장을 최소화하고, 운행구간의 상당 부분이 버스전용차로여서 정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일일 이용수요는 동서축 노선은 6,770명, 남북측 노선은 1만 591명으로 추산합니다.

서귀포시 도심 급행버스는 2단계 실행계획에 따라 동서축 노선으로 기존 시외급행버스 개선과 연계해 2024년 7월경 개통할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버스 운영체계 개선 계획에 따라 급행버스 노선 신설을 비롯한 비효율 노선 개선, 버스 운행횟수 조정, 버스 중소형화 전환 등을 통해 약 210억 원의 재정을 절감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심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고 버스 서비스의 품질을 높여 도민 만족도를 높이고, 재정건전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도심 급행버스 신설에 맞춰 승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광판과 현수막, 버스정보시스템, 사회관계망(SNS) 등을 통해 운행시간과 구간을 집중적으로 홍보할 계획입니다.  

이상헌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도민들이 더 빠르고 더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비효율적인 노선을 개편하는 연차별 실행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면서 “버스 서비스 만족도와 재정건전성을 높이는 일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제주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 개통 후 시간표 조회 가능) 

http://bus.jeju.go.kr/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도내 두 개 자치시, 즉 서귀포시와 제주시에서 대중교통용 버스를 운행하는 운수회사(운수업체)의 연락처입니다.

제주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bus.jeju.go.kr/

아래 표에서는 운수업체 이름과 전화번호, 해당 운수업체에서 운영중인 각 등급별 버스 노선만 정리해 놨습니다.

각 버스별 운행시간표, 운행경로, 정류장 위치 등 상세 운행정보는 제주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변경사항도 확인 가능합니다.

※ 제주도내 대중교통체계 전면 개편 이후 노선번호, 운행경로 등이 바뀌는 경우가 많으니, 최신 정보는 항상 제주버스정보시스템을 통해 한 번 더 확인해 보세요.



운수업체명

지역번호 064

급행, 일반간선, 관광지순환

시내간선, 시내지선, 읍면지선

극동여객

☏753-0310

150,250,255,270

(제주시)

325,326, 343,344,

411,412, 425,426, 431,432

동진여객

☏757-5714

130,181,231,232,281

(제주시)

345,346,347, 434,435,

436,437, 451,452,

471,472,473, 475,477

삼화여객

☏753-1621

182,240,282

(제주시)

311,312, 415, 440, 441,442, 444,445, 446,447, 455, 461,462, 465,466

제주여객

☏753-2056

102,120,202,220,290

(제주시)

315,316

삼영교통

☏713-7000

 

(제주시)

320,335,336,341,342,

348,349,351,352,355,

356,357,358,360,365,

366,367,368,369,370,380

관광지순환버스

☏746-7310

810,820

(제주시)

심야버스

3001,3002,3003,3004,

3005,3006,3007,3008

금남여객

☏753-4423

(서귀포지사)

☏767-0667

101,110

201,210,260,295

(제주시)

331,332, 421,422

(서귀포시)

610,615,622,633,640

641,651,652,655

동서교통

☏732-4934

 

(서귀포시)

510,520,521,530,620,621,

625,630,635,645

(서귀포시)  심야버스

5001,5002,5003,

5004,5005,5006

제주시공영버스

제주시교통행정과

☏728-3211~3

 

(제주시)

300 *시내급행

(제주시)

읍면지선

701,702,704,711,

771,772,781,783,784,

785,791,792,793,794

서귀포시공영버스

서귀포시교통행정과

☏760-3111~3

880

(서귀포시)

627,690,691,692

(서귀포시)

읍면지선

721,722,731,732,741,742,

751,752,761-1,761-2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제주시

703-1,703-2,782-1,782-2

서귀포시

743-1,743-2,761-3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