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귀포시 기당미술관은 작품을 시대별 소개하는 전시인 '소장품으로 보는 제주미술 변천사2'를 2024년 5월 9일부터 7월 7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합니다.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제주미술 흐름을 살펴보는 시간으로 이왈종, 오승익, 김방희, 박성진, 김연숙, 이창희, 문창배, 강주현, 김산 작가 등의 작품 30여 점을 소개합니다.

★ 기당미술관 공식 누리집 https://culture.seogwipo.go.kr/gidang/

이번 전시는 기당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 중심으로, 제주미술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출품 작가들은 제주미술의 흐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들의 사상과 교육관, 구성기법 등의 영향을 받은 후학들이 제주미술에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전시는 작가의 활동시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습니다.

1980년대는 전시공간이 본격 확산하던 시기로, 미술 전공 작가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이전과는 다른 변화를 모색하던 시기였습니다.

1990년대는 미술 단체(협회)를 많이 만들던 시기로, 제주대학교의 미술학과 변경은 전문 미술인 양성의 시발점이자, 작품 창작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단단하게 만드는 기회였습니다.

2000년대는 도내 공립미술관 개관이 마중물이 되어, 다양한 사설 화랑(갤러리)과 미술관이 잇달아 문을 여는 시기였습니다. 미술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고 작품을 발표할 기회가 늘어나는 시기였습니다.

2010년도 이후 제주는 미술관 중심의 기획 전시는 물론, 비엔날레, 아트페어같이 특별한 미술 감상 기회를 확장하는 시기였습니다. 미술작품은 더 이상 특정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호텔, 카페 등 다양한 장소에서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거듭났습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미술관의 소장작품으로 제주 현대미술의 흐름을 알아보는 기회이다. 미술관이 보유한 작품을 통해 지역작가의 작품의 가치와 작가들의 위치와 역할, 작품의 변화과정 등을 학습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미술관의 역사와 함께 할 제주미술의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내는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수집되기를 고대하며 다양한 주제전을 통하여 소개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김희찬)는 한라수목원 개원 30주년 특별 기획의 일환으로 '제주도의 곤충류 사진 및 표본 전시회'를 2023년 10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한라수목원 전시실에서 개최합니다.

특히, 기존 전시는 건조 표본을 눈으로만 관람하였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레진*으로 특별제작한 표본을 선보여 곤충의 형태와 특징 등을 손으로 만져보며 세밀하게 체험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레진 : 주제와 경화제를 섞어 쓰는 합성수지의 일종으로, 시간이 경과하면 딱딱하게 굳어지는 성질을 가짐

○ 레진 표본

 

제주지역에서 문제가 됐던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뿐만 아니라 최근 용연계곡 주변에서 번식이 확인된 외래곤충인 (가칭)노랑알락하늘소 등을 레진표본으로 제작.전시하여 곤충에 대한 이해와 학습효과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전시 자료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올해 한라수목원 개원 30주년 특별기획 사업으로 나무 나누어주기 행사를 비롯하여 멸종위기 야생식물 자생지 복원행사를 추진한 바 있으며, 한라수목원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 및 수목원 조성과 운영성과 등 30년사 기록을 백서로 제작할 계획입니다.

☆ 한라수목원 누리집 http://sumokwon.jeju.go.kr/

고정군 한라산연구부장은 “제주도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제주의 생물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과 관심을 높이기 위해 더욱 다양한 체험 기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