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시민과 애완동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2025년 3월 17일부터 11월 말까지 가내사육 동물의 광견병 예방접종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광견병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감염된 동물에게 물리거나 할퀸 상처를 통하여 동물 및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으며, 치사율이 매우 높은 질병입니다.

이번 사업은 서귀포시에 거주하는 시민이 키우는 애완동물(3개월 이상 개․고양이)을 대상으로 하며, 총 1,580마리분의 백신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특히, 야생동물과 접촉 가능성이 높은 산간 지역에서 사육하는 개는 우선 접종을 시행합니다.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애완동물 보호자는 서귀포시 내 지정 동물병원(14개소)에 방문하여 5,000원의 시술료만 부담하면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동물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애완견의 경우 동물 등록 후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고양이는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접종할 수 있습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광견병 예방접종은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시민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며 “반려견과 반려묘를 키우시는 많은 시민께서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서귀포시를 만들어가는 데 함께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만 18세 미만 아동의 보호.양육을 희망하는 가정에, 해당 아동을 위탁하여 보호하는 '가정위탁보호제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보호자가 없거나, 부모와 함께 살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아동에 대하여 양육에 적합한 자격을 갖춘 가정에 일정기간 위탁하여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신청방법은 아동의 위탁보호를 희망하는 친척.인척이 아동의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사무소 및 동주민센터에 신청서 등을 제출하면,
위탁 희망 가정에 대한 아동보호 전담요원의 조사를 바탕으로 아동복지 심의에서 선정여부를 결정합니다.

가정위탁 아동으로 결정이 되면 위탁부모는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에서 5시간의 위탁부모 양성교육을 반드시 이수를 하여야 합니다.

제주시는 위탁가정의 양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가정위탁 양육보조금, 중.고교 학생 학습비, 문화활동비, 대학입학준비금, 아동용품 구입비, 심리치료비, 자립정착금 등을 지원합니다.

또한, 아동의 안정적인 보호 및 성장 확인을 위하여 아동보호전담요원이 분기마다 가정위탁 아동 양육상황 점검을 진행합니다.

한편, 제주시는 올해(2025년) 2월 말 기준 154명의 가정위탁아동을 지원.관리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159명의 가정위탁아동에게 10억 3천만 원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한명미 주민복지과장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이 시설이 아닌 가정에서 사랑과 관심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가정위탁 보호아동을 적극 발굴.지원하여 아이들이 행복한 제주시를 만들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난방(에너지) 취약계층이 친환경 보일러를 설치할 경우 설치비 일부를 지원하는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보급사업’을 연중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025년 보급계획 물량은 50대이며, 가구당 60만 원을 지원합니다.

친환경보일러는 일반보일러보다 열효율이 높아 난방비 절감뿐 아니라 미세먼지 발생원인 중 하나인 질소산화물(NOx)을 일반보일러의 8분의 1 수준으로 적게 배출하며, 환경표지인증을 받은 제품입니다.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연금법에 따른 장애인 연금수급자, 한부모가족, 다자녀가구(2자녀 이상), 사회복지시설 등으로,
임차인이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임대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다자녀가구 조건을 기준중위소득 70퍼센트(%)에서 100%까지 완화하였습니다.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에 거주하는 지원 대상자는 기존의 목재연료, 연탄, 기름보일러를 인증받은 엘피지(LPG)보일러로 교체하는 경우에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신청은 세대주(세대원)가 직접 신청하거나, 공급자(보일러대리점)가 지원 대상자의 위임을 받고 구비 서류를 갖추어 제주시 환경지도과(전화번호 064-728-3133)로 방문해서 접수하면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제주시 누리집(https://www.jejusi.go.kr/) 공고문 게시판을 참고하면 됩니다.

 

☆ 첨부파일 : 사업시행 공고문, 신청서 등 HWP 양식

제주시 2025년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설치 지원사업 공고문.hwp
0.13MB


김은수 환경지도과장은 “친환경 보일러는 대기질 개선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비 절감에도 효과가 있으므로 노후 보일러를 사용 중인 지원 대상 가구에서는 많은 관심과 신청을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복권기금 재원을 활용하여 2025년 제1차 신혼부부.자녀출산 가구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대상은 신청일 기준 7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였거나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 중 금융권에서 주택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도민 등입니다.

올해 지원금은 전년 대비 10만 원 상향하였습니다.

신혼부부 혹은 1자녀 출산가구는 최대 140만 원(주택전세대출 잔액의 1.5퍼센트(%))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자녀(2자녀 이상), 장애인, 다문화 가구는 우선 지원 대상으로, 최대 180만 원(대출 잔액의 2%)을 지원합니다.
 ※ 2024년 최대 지원금액 130만원(신혼부부.1자녀 출산가구), 170만원(다자녀, 장애인, 다문화 가구)

신청은 2025년 2월 28일까지이며,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나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제주도청 누리집(어떤 정보가 필요하신가요? → 도시계획.토지.주거 → 주거복지 → 신혼부부 및 자녀출산가구 전세이자 지원)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도 누리집(도정뉴스 → 입법.고시.공고)에서 확인하거나, 도청 주택토지과 주거복지팀(전화번호 064-710-4254), 제주시 주택과(064-728-3072), 서귀포시 건축과(064-760-3013)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 공고문 HWP 양식

2025년 신혼부부 및 자녀출산가구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계획 공고문.hwp
0.77MB


한편, 신혼부부.자녀출산가구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사업은 주거약자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고 주거권 확보와 자립기반 조성을 위해 2012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1,159가구에 14억 9,0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지금까지 총 1만 131가구가 94억 5,000만 원의 혜택을 받았습니다.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이번 사업이 신혼부부와 자녀 출산가구에게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도민 체감형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빈병 재활용률 향상을 위하여 2025년도에 병류 수집 장려금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병류 수집자 사전등록을 한 개인 수집자가 재활용품(병류)을 지정한 재활용 업체로 반입하면 킬로그램(kg)당 90원의 수집장려금을 지원받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 병류는 소매점에서 보증금을 환불받을 수 있는 빈용기 보증금 대상 병류(소주병, 맥주병 등)를 제외한 유리병류입니다.

주민등록상 제주시를 주소지로 둔 19세 이상의 시민이면 누구나 올해(2025년) 11월 말까지 제주시 생활환경과로 상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폐기물 처리업자, 폐기물 처리 신고자(가족 포함) 및 소속 직원은 신청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병류 수집 장려금 신청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제주시 누리집 공지사항 게시판에 등록한 사업 안내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 사업안내문, 신청서류 등 HWP양식

2025년 제주시 병류 수집 장려금 지원 사업 안내.hwp
0.06MB
2025년 제주시 병류 수집 장려금 지원 사업 신청서류.hwp
0.05MB


☆ 관련 문의 : 시청 생활환경과 (전화번호 064-728-3186)

한편, 제주시에서는 올해부터 개인 수집자의 재활용도움센터의 병류 수집을 금지하고 있으며, 사기그릇.도자기.유리뚜껑.거울 등 유리병류 이외의 폐기물은 불연성 전용 마대 구입 후 분리배출 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홍권성 생활환경과장은 “재활용 가능자원의 재활용률 향상을 위해 시민 참여 시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하고 있으며, 재활용 분리배출에 시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드린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