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시는 2024년 10월 30일(수)부터 11월 8일(금)까지 '삼도2동 문화의 거리' 일원 빈점포 입주작가를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모집은 삼도2동 문화의 거리 및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것입니다.

제주시는 빈 점포에 입주하여 창작 및 전시공간을 조성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14인의 입주작가를 선정할 계획입니다.

선정받은 입주작가는 입주계약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포 임차료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자를 대상으로 서류 심사와 면접 심사를 통하여 고득점자순으로 최종 입주자를 선정할 계획이며, 지원 자격, 심사 기준 등의 구체적인 내용은 제주시 누리집 고시공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 모집공고문, 신청서식 등

2024 제주시 빈점포 입주작가 모집공고문.pdf
2.27MB
2024 제주시 입주 신청 서식.hwp
0.05MB


응모신청서는 제주시 문화예술과(제주시청 6별관 6층)에 방문하거나 전자메일(kjh9038@korea.kr)을 통해서 접수가 가능하며,
최종 입주자는 2024년 11월 중 선정.발표할 예정입니다.

◎ 입주 공간별 참고 사진


채경원 문화예술과장은 “앞으로도 문화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동시에 원도심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문학관은 모든 문학 분야(장르)에서 걸쳐, 기성 작가부터 예비 작가까지 창작에만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2024년도 제2기 창작공간 이용 작가를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문학관 창작공간은 문학작품을 집필할 수 있는 작업실로, 올해 제2기 운영기간은 2024년 6월 4일에서 8월 30일까지이며, 최대 8명의 작가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춘문예나 문학 전문지 등에서 등단하거나, 출판사를 통한 작품집 발간 실적이 있는 기성작가나, 아직 등단하지는 않았지만 작품 발표 혹은 출판 계획이 있는 예비 작가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창작공간 접수 기간은 5월 1일부터 17일 오후 6시까지이며,

제주문학관 공식 누리집(http://www.jeju.go.kr/liter) 교육.프로그램 신청란에서 접수하면 됩니다. 

창작공간 이용은 무료이며, 교통비.식비.체제비 등은 선정 작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창작공간은 제주문학관 3층에 있으며, 유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개인 노트북PC는 별도로 지참하여야 합니다.

창작공간은 휴관일을 제외한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9시~오후 6시 이용이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제주문학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2022년 창작공간을 이용한 예비 작가가 제주신인 문학상 소설 부문과 희곡 부문에 각각 당선하였으며, 지난해(2023년) 창작공간을 이용한 기성작가가 제17회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김양보 제주도 문화체육교육국장은 “제주문학관은 도민과 작가들의 문학 향유를 위해 제주도가 직접 운영하는 문화 공간”이라며 “관심있는 작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문학관이 기성 작가부터 예비 작가들까지 모든 문학 장르에서 걸쳐 창작에 집중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2024년 제1기 창작공간 이용 작가'를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문학관 창작공간은 문학작품을 집필할 수 있는 작업실입니다.  

2024년 제1기 운영기간은 3월 5일에서 5월 31일까지이며, 최대 8명의 작가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춘문예나 문학 전문지 등을 통하여 등단하거나 출판사를 통한 작품집 발간 실적이 있는 기성작가나,
아직 등단하지는 않았지만 작품 발표 혹은 출판 계획이 있는 예비 작가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창작공간 접수 기간은 2024년 2월 2일부터 16일 오후 6시까지이며,

제주문학관 누리집(http://www.jeju.go.kr/liter) 교육.프로그램 신청란을 통하여 접수하면 됩니다. 

창작공간 이용은 무료이며, 교통비.식비.체제비 등은 선정작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창작공간은 제주문학관 3층에 있으며, 유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개인 노트북 컴퓨터 등은 별도로 지참하여야 합니다.

창작공간은 휴관일을 제외한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9시~오후 6시 이용이 가능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제주문학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2022년 창작공간을 이용한 예비 작가가 제주신인문학상 소설 부문과 희곡 부문에 각각 당선되었으며, 2023년 창작공간 이용한 기성작가가 제17회 한국추리문학상 황금펜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김양보 제주도 문화체육교육국장은 “제주문학관은 도민과 작가들이 문학을 향유하도록 제주도가 직접 운영하는 문화 공간”이라며 “관심 있는 작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문학관에서는, 모든 문학 장르의 기성 작가부터 예비 작가까지 창작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2023 '제4기 창작공간 이용 작가'를 모집합니다.  

'제주문학관 창작공간'은 문학작품을 집필할 수 있는 작업실입니다.  

제4기 운영기간은 2023년 10월 4일부터 12월 29일까지이며, 최대 8명의 작가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신춘문예나 문학 전문지 등을 통하여 등단했거나 작품집 발간 실적이 있는 기성작가와, 작품 발표 혹은 출판 계획이 있는 예비 작가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창작공간 4기 접수 기간은 2023년 8월 15일부터 9월 15일 오후 6시까지 한 달간으로, 제주문학관 누리집(http://www.jeju.go.kr/liter) 교육·프로그램 신청란을 통하여 접수하면 됩니다. 

창작공간 이용은 무료이며, 별도의 교통비·식비·체제비 등은 선정작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창작공간은 제주문학관 3층에 있으며, 유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개인 노트북PC는 별도로 지참해야 합니다.

창작공간은 휴관일을 제외한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9시~오후 6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제주문학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화번호 064-710-3490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북로 339

한편, 지난해(2022년) 창작공간을 이용한 예비 작가가 제주신인문학상 소설 부문과 희곡 부문에 각각 당선된 바 있습니다.

오성율 제주도 문화체육교육국장은 “제주문학관은 도민과 작가들이 문학을 향유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직접 운영하는 문화공간”이라며 “관심 있는 작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