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2015년 4월, 제주농지가 편법으로 취득되어 난개발에 이용되거나 개발을 도모하는 사례가 생겨나고, 이로 인한 농지가 잠식됨은 물론, 농지수요공급과 가격이 왜곡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농지기능관리강화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www.jeju.go.kr/

1단계로 도내 비거주자가 최근 3년간(2012년 1월 1일 ~ 2015년 4월 30일) 취득한 농지에 대해 이용실태 특별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대상면적이 31.7%가 휴경, 무단전용, 임의임대 등 비정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적발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 전체 조사대상 면적 : 12,698필지, 17,565천㎡
 ▷ 비정상관리 내역 : 4,032필지, 5,573천㎡ (31.7%)
    - 휴경 3,492필지 4,771천㎡(27.2%), 무단전용 209필지 203천㎡(1.1%), 임의임대 331필지 599천㎡(3.4%)

이번에 적발된 농지에 대해서는 자치경찰등과 협업하여 행정절차에 따른 청문을 철저하게 실시 한 후 농지법 제10조의 규정에 의거 1년 이내에 '해당농지에 대한 처분의무를 부과'하고,

정해진 기간내에 처분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6개월의 기간을 정하여 농지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농지처분 명령'을 할 계획입니다.

또한 농지처분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면 최종적으로 해당농지 공시지가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행강제금으로 농지이용이 정상화 될 때까지 매년 부과하는 등 제주농지의 비정상적 이용을 엄단해 나갈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의 생명산업이자 관광산업이 모태이며, 미래제주가치인 청정과 공존의 원천인 제주농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주농지가 제 기능을 다할 때만이 가능할 수 있다는 철칙 실현을 위해, 제주농지에 대한 2단계(도내 거주자 취득 농지), 3단계(1~2단계 조사 제외한 1996년 1월 1일 농지법 시행 이후 취득 농지) 특별조사를 철저히 하여 위법사항에 대해서는 농지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강력한 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입니다.

농지이용실태 특별조사와 병행하여 농지 신규취득자에 대한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 심사와 농지전용 심사를 강화하여 「농지기능관리강화 방침」 실현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입니다.
 
한편, 지난해 4월 「농지기능관리강화방침」발표 이후 도내 비거주자의 농지취득은 이전에 비해 42%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농지기능관리강화 방침」 발표 이후 농지에 대한 인식과 편법취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주거, 교육급여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읍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에서 희망키움통장Ⅱ 신규 가입 대상자를 2016년 3월 4일부터 10일까지 7일간 모집한다고 공지했습니다.

제주시청 홈페이지 http://www.jejusi.go.kr/

희망키움통장Ⅱ사업은 근로빈곤층의 기초수급자 진입을 사전에 예방하고 중산층으로 진입을 할 수 있도록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자산형성 사업입니다.

가입대상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가구(4인기준 219만5717원)로서, 최근 1년 중 근로활동한 사실이 있어야 하며 가구 전체의 총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50%의 60% 이상(4인기준 월 131만7430원)인 가구입니다.

유의사항은 국가 또는 지자체가 인건비 전액을 지급하는 자활근로, 공공근로 등 재정일자리사업 및 사회적 일자리 서비스사업 소득은 제외되며, 만일 주 소득원이 신용불량일 경우에는 자녀 명의로 통장을 개설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지원금은 주택구입·임대, 본인·자녀의 교육·기술훈련, 사업의 창업·운영자금, 개인자산형성 목적의 ISA계좌상품 가입 및 국민연금 납입, 그 밖의 자활 자립에 필요한 용도로 제한됩니다.

희망키움통장Ⅱ 대상자로 선정되어 3년간 매월 10만원의 저축을 유지할 경우 교육 이수 및 지원조건에 적합하면 본인 적립금 360만원과 정부 지원금 360만원을 포함해 총 720만원과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사업은 2014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292가구를 지원했고, 지난해는 313가구를 지원한 바 있습니다.

제주시 관계자는 “저소득층이 일을 통해 자립하고, 목돈을 지원해 빈곤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책인 만큼 희망키움통장Ⅱ 가입자 발굴을 위하여 보다 많은 이들이 가입할 수 있도록 홍보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가입을 희망하는 가구는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고, 기타 궁금한 사항은 제주시 기초생활보장과(전화 064-728-2521)로 문의하면 됩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최종보고서를 도청 공식홈페이지에 일반 공개했습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www.jeju.go.kr/news/news/news.htm?act=view&seq=964273

 

'제주공항 인프라(기반시설) 확충'이란 현 제주국제공항의 수용능력 한계에 따라 기존 공항의 시설을 보강하거나 대체공항을 찾는 것(제2공항을 건설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단 대상지, 즉 제주 제2공항 건설 후보지는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온평리, 신산리 일원으로 결정된 바 있습니다.

 

최종보고서는 제주공항과 공항확장 방안은 물론 제주도내 교통 시설 환경에 대한 내용까지 담고 있습니다.

 

용량 때문에 파일을 이 글에 직접 올리지는 못했습니다.

 

아래 링크로 내려받거나, 제주특별자치도 공식 홈페이지 → 새소식 게시판 에서 직접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제주공항 인프라확충 최종보고서 PDF 파일 링크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최근 서귀포-성산포-가파도 연안해역을 중심으로 멸치어장이 형성되면서 멸치 위판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www.jeju.go.kr/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모슬포수협 관내 멸치조업 어선 16척이 지난 2016년 1월부터 멸치조업 중에 있으며, 2월 24일 현재 총 위판량은 649톤, 위판액은 2억1천9백만원으로 전년동기(154톤, 7천4백만원) 대비 위판량은 421%, 위판액은 296%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위판단가는 10kg(말) 평균 3,000∼4,000원선으로 작년동기 2,400원에 25∼60% 상승하였으며, 현재 제주남부 연안해역 수온은 작년대비 0.9℃ 높은 14.5℃로서 멸치어장 형성에 적합한 수온을 보이고 있음에 따라 앞으로 멸치 어획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수협 위판 수매동향을 살펴보면, 위판량의 약 50%는 모슬포수협에서 수매 후 자체 염장탱크에 저장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중매인을 통하여 수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따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제주도 남부해역을 중심으로 멸치를 먹이로 하는 갈치, 고등어 어장 동반 형성이 예상됨에 따라 타 시도 대형어선의 조업금지구역 침범, 기상악화시 불법조업 등 근절 및 연근해어선 안전조업지도에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김창선)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자취를 감추면서 지금은 일부해역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제주토속 해조류인 참모자반 양식연구를 다년간 추진한 결과, 우량 인공종묘 생산기술 확립과 가이식* 기간 조절을 통해 자연산에 비해 엽체 폭이 넓어 가식 부위가 많고 이물질이 거의 없는 고품질 참모자반 대량양식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가이식 : 육상수조에서 배양한 참모자반 종묘를 현장이식 전 바다적응 능력 배양을 위해 일정기간 동안 육성시키는 과정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www.jeju.go.kr/

참모자반은 제주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인 몸국(※ 아래아가 들어간 몸;ㅁ.ㅁ)의 주 재료로 예전에는 소라, 전복 다음으로 주 수입원이었으나, 하천정비 및 해안도로 등 연안개발과 기후변화 등으로 자원이 급격하게 감소되면서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턱없이 모자라 식용 해조류(톳, 우뭇가사리, 참모자반) 중 가장 비싼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 생산량 및 거래 가격 : 1990년 500톤 → 2015년 20톤 (참모자반 3,000원, 톳 900원, 우뭇가사리 1,000원 – kg당 생중량)

이번 양식에 성공한 고품질 참모자반은 지난 2015년 3월 자연산 모조(母藻)를 연구원 육상수조에서 성숙시킨 후 강제 포자방출 유도에 의한 채묘과정을 거쳐 2개월간 육상에서 조도와 수온 조절 및 시비 투입을 통해 우량의 종묘를 생산하였고, 5월부터 조류 소통이 좋고 영양염류가 풍부한 조천항 가이식 장소로 옮겨 평균 엽장 크기가 3㎝까지 자라는 8월말까지 장기간 가이식 후 3개소 해역(조천, 종달, 오조) 격자식 양식틀 양성줄에  본 이식을 추진하여 생산시기인 올해 2월까지 사후관리에 철저를 기했습니다.

해역별 양식 결과, 파랑 영향이 많은 외해역(조천 마을어장) 0.3ha 양식틀에서는 502kg 정도 생산되었고, 파랑 영향이 적고 영양염류가 풍부하다고 판단되는 내만역(종달항 인근) 0.3ha 양식틀에서는 조천보다 2배 정도 많은 1,000kg 정도가 생산되었습니다.
2개소 해역 모두 고품질 참모자반이 생산되었고 시설 안정성도 확보되었으나, 성장면에서는 영양염류가 풍부한 곳에서가 외해역에 비해 1.3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한편 이번에 생산된 고품질 양식산 참모자반의 특징을 보면 제주해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자연산 참모자반에 비해 엽체 길이나 폭이 2~3배 정도 넓고 한 가지당 부착 엽체량이 상당히 많아 개체당 가식부위가 높게 조사되었고, 엽체 등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거의 없어 손질도 쉽고 맛감도 좋은 것으로 어업인들이 호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해양수산연구원은 어촌계를 대상으로 고품질 참모자반 양식기술 보급을 통해 부가 소득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 연구과제(2017 ~ 2018년, 20억원) 바다 수중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표층에는 참모자반, 중층과 저층에는 우뭇가사리와 감태 등의 증식장.양식장 조성모델 개발연구도 추진할 계획으로 해양수산부와 긍정적인 협의가 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고품질 양식산 참모자반(왼쪽)과 자연산 참모자반(오른쪽)


○ 향후 제주토속 해조류 증·양식장 조성사업 구상도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