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복권기금 재원을 활용하여 2025년 제1차 신혼부부.자녀출산 가구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대상은 신청일 기준 7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였거나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 중 금융권에서 주택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도민 등입니다.

올해 지원금은 전년 대비 10만 원 상향하였습니다.

신혼부부 혹은 1자녀 출산가구는 최대 140만 원(주택전세대출 잔액의 1.5퍼센트(%))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자녀(2자녀 이상), 장애인, 다문화 가구는 우선 지원 대상으로, 최대 180만 원(대출 잔액의 2%)을 지원합니다.
 ※ 2024년 최대 지원금액 130만원(신혼부부.1자녀 출산가구), 170만원(다자녀, 장애인, 다문화 가구)

신청은 2025년 2월 28일까지이며,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나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제주도청 누리집(어떤 정보가 필요하신가요? → 도시계획.토지.주거 → 주거복지 → 신혼부부 및 자녀출산가구 전세이자 지원)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도 누리집(도정뉴스 → 입법.고시.공고)에서 확인하거나, 도청 주택토지과 주거복지팀(전화번호 064-710-4254), 제주시 주택과(064-728-3072), 서귀포시 건축과(064-760-3013)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 공고문 HWP 양식

2025년 신혼부부 및 자녀출산가구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계획 공고문.hwp
0.77MB


한편, 신혼부부.자녀출산가구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사업은 주거약자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고 주거권 확보와 자립기반 조성을 위해 2012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1,159가구에 14억 9,0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지금까지 총 1만 131가구가 94억 5,000만 원의 혜택을 받았습니다.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이번 사업이 신혼부부와 자녀 출산가구에게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도민 체감형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아동 건강체험 활동비'를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원대상은 중위소득 120퍼센트(%) 이하 가구의 8세 이상 12세 이하 아동입니다.

매월 5만원을 지역화폐 ‘탐나는전’에 충전해 주는데, 도내 체육시설․문화시설 1,144개소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도민 편의를 위하여 ‘정부24’ 공식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2025년 1월 8일부터 신청을 받아 2월 14일 기준 7,249명 아동에게 7억 2,000여만 원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올해 지원 대상은 2013년생부터 2017년생 아동(단, 2017년생 아동은 8세 생일이 속한 달부터 신청 가능)입니다. 

지원금은 매월 15일 ‘탐나는전’에 충전해 주며, 체련시설(스포츠센터), 운동 관련 학원, 체육관, 문화시설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 가능 가맹점 목록은 제주도청 누리집(홈페이지; https://www.jeju.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혜란 제주도 복지가족국장은 “아동들이 다양한 체육활동과 문화체험을 통해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제80회 식목일 전후로 전 도민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문화 확산을 위하여, 도내 기관.단체 및 생애주기별 해당 도민에게 나무 6,000여 본을 무료로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기관.단체들의 자발적인 나무심기 참여를 독려하고, 특별한 해(생애주기별)를 맞는 도민들에게 ‘내 나무 갖기’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획한 행사입니다.

공급 수종은 매실나무, 단감나무, 목련, 황칠나무 등 10종입니다.

신청은 2025년 2월 17일 오전 9시부터 2월 28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기관.단체 및 생애주기별 전용 큐알(QR)코드 및 누리집★을 통해서 선착순으로 접수합니다. 
 ★ 기관.단체용 https://naver.me/GG7lVqbc  , 개인(생애주기별) https://naver.me/FMc7Z4UW

기관.단체 물량은 5,400여 본으로, 도내 기관, 단체, 마을 등이 소유한 토지나 주변 자투리땅에 나무심기 행사를 진행할 경우 수종.수량.장소.식재 일정 등을 기재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내 나무의 소중함을 간직하고 기념할 수 있는 생애주기별(돌, 성년, 환갑)☆ 나무 나눔은 1인당 5본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600여 본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 생애주기별 대상은 올해 돌(1세) 2024년 출생한 자녀가 있는 가족, 성년(20세) 2006년 출생한 분, 환갑(60세) 1965년 출생한 분.

행사 관련 사항은 제주도 산림녹지과(전화번호 064-710-6776)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도민들의 자발적인 나무심기 참여는 미래 숲 조성을 통해 기후위기에 제주를 지키는 소중한 첫걸음”이라며, “도민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나무심기 ‘초록동행’ 캠페인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청년가구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하여 2025년 2월부터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청년원탁회의를 통해서 도입한 이 사업은 지난해(2024년) 283가구에 총 1억원을 지원하였으며, 가구당 평균 약 35만원을 지원 받았습니다.

지원 대상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제주도에 전입하였거나, 도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를 완료한 '19~39세 청년★'이며,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80퍼센트(%) 이하인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 1985년 1월 2일 ~ 2006년 1월 1일 사이 출생자

◎ 2025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 (단위 : 원)

기준
중위소득
건강보험료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노인 장기요양 제외)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80% 1 4,306,000 152,664 88,285  
2 7,079,000 252,203 196,416 256,716
3 9,046,000 330,765 292,298 342,861
4 10,976,000 407,092 382,076 431,294
5 12,795,000 461,699 447,279 506,004
6 14,517,000 552,230 545,970 599,810
7 16,180,000 599,810 591,277 673,463
8 17,842,000 673,463 654,281 792,926
9 19,505,000 792,926 752,028 1,022,274
10 21,167,000 792,926 782,028 1,022,274


지원은 2년에 1회씩 최대 3회까지 가능하며, 지난해에 지원받은 경우 올해 지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선정받은 가구는 사다리차 이용비, 이사업체 포장비, 이사업체 운반비 등 이사비와 청소업체 등을 통한 입주청소에 들어간 비용 가운데 최대 40만원까지 실비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단, 개인간 계약.거래 및 생필품 등은 제외

신청은 2025년 2월 3일부터 정부24 공식 누리집(https://www.gov.kr/)에서 온라인으로만 접수받습니다.

신청자가 많을 경우 접수 완료 순(제출서류 구비 완료)으로 지원금을 지급하며, 예산 소진 시 조기에 마감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견적서 및 영수증 등 이사비용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출(증빙) 서류와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및 소득 관련 서류 등을 준비하여야 합니다.

★ 첨부파일 : 사업 공고문 HWP 양식

2025년 제주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공고문.hwpx
0.67MB


☆ 관련 문의처 : 제주도청 주택토지과 (전화번호 064-710-4252)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2024 제4회 제주비엔날레(총감독 이종후)가 2025년 2월 16일 폐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립미술관은 2월 11일부터 2월 16일까지 전시 무료 관람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제주비엔날레는 주 전시장인 '제주도립미술관'을 포함하여 제주현대미술관 문화예술 공공수장고,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아트플랫폼 등 총 5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주 전시장인 제주도립미술관은 안내대(데스크)에서 무료 입장권을 수령한 후 입장할 수 있습니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해당 기간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들을 위하여 특별한 행사(이벤트)도 마련합니다.

무료 관람 첫날인 2월 11일 전시장에 방문하는 관람객 중 제주비엔날레와 제주도립미술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한 150명을 대상으로 '제주비엔날레 한정판(에디션) 친환경가방(에코백)을 선착순으로 증정할 계획입니다.

모든 전시 장소는 무료로 운영하며,
자세한 사항은 제주비엔날레 공식 누리집(http://www.jejubiennale.org/)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장은 “이번 비엔날레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던 건 제주도민들의 성원과 지지 덕분”이라며 “무료 개방 기간에 많은 분들이 오셔서 막바지 제주비엔날레를 즐기길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