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2025년 기존주택 등 '매입 임대주택 사업'을 통하여 청년, 신혼부부, 다자녀 등에 매입형 공공임대주택 280호를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매입임대주택 사업은 도내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신축 주택을 매입하거나 기존주택을 매입해서 개.보수한 후 저소득 청년,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등에 저렴하게 임대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사업입니다.

제주도와 제주개발공사는 올해 매입형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위하여 국비, 기금, 도비 등 총 671억 원을 투입해 전년 대비 100호 늘어난 280호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특히, 올해는 민간이 입주자 수요에 맞는 공간과 편의(서비스)를 갖춘 주택을 제안 후 시공하면 제주개발공사가 매입하여 임대하는 '특화형 매입임대주택 사업'도 새로 도입합니다. 

제주개발공사는 사업안내를 위한 사전 공고를 진행 중이며, 준공형 100호와 약정.특화형 180호를 매입할 예정입니다.

준공형은 준공 10년 이내 기존주택을 매입하여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유형으로, 일반형 60호, 청년형 10호, 신혼부부형 30호로 구성합니다.

약정.특화형은 제주개발공사가 지역 건설사와 건축 예정 주택에 대해서 매입약정을 체결하고, 준공 후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유형입니다.
일반형 60호, 청년형 50호, 다자녀형 50호, 신혼부부형 20호를 공급합니다.

사업물량과 매입상한금액 등 세부기준은 2025년 3월 중 공고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도 누리집(https://www.jeju.go.kr/) 내 도정뉴스 → 타기관 입법.고시.공고 게시판, 또는 제주개발공사 누리집 내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청 주택토지과 주택정책팀(전화번호 064-710-2685), 제주개발공사 주거복지팀(전화번호 064-780-3808)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매입형 공공임대주택 공급으로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돕고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5월부터 대중교통 취약지역(읍면)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운영중인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수단 '옵서버스'의 운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배차간격 1시간 이상, 1일 평균 이용객 80명 이하인 공영버스 노선을 대상으로, 노선 형태와 시간대별 이용객 현황 등을 종합 분석하여 '옵서버스' 전환 노선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2023년 애월읍과 남원읍에서 시작한 시범운영은 지역주민들의 호응을 얻은 바 있습니다.
이에 2024년 한림읍, 한경면, 성산읍, 표선면 등 4개 권역을 추가하여, 현재 6개 권역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실시한 관찰조사(모니터링) 결과, 옵서버스 도입으로 이용객의 평균 대기시간이 61분에서 14분으로 47분이 단축되었습니다.
버스 운행거리도 하루 평균 2,116킬로미터(㎞) 감소하여 운영 효율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는 현재 6개 읍면 14개 노선의 옵서버스를 7개 읍면 23개 노선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제주버스 정보 시스템 공식 누리집 http://bus.jeju.go.kr/


기존 운영지역인 애월읍은 운행구간을 25.4평방킬로미터(㎢)에서 44.1㎢로, 성산읍은 57.1㎢에서 120.1㎢로, 표선면은 21.2㎢에서 76.9㎢로 각각 확대합니다.
여기에 구좌읍 81.3㎢를 신설 추가합니다.

◎ 2025년 옵서버스 확대지역 노선도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2023년 10월부터 시작된 옵서버스가 3년 차를 맞아 7개 읍면으로 확대되면서 이용객 증가 및 운영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도내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옵서버스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한라산 설경을 찾는 탐방객 수요를 고려하여 '한라눈꽃 버스' 2개 노선(1100번, 1100-1번)의 운행을 2025년 3월 3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한라산 설경을 감상하려는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버스 운행 기간을 연장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한라눈꽃버스는 2월 25일부터 3월 3일까지 운행을 재개합니다.

제주도는 지난해(2024년) 12월부터 도민과 관광객들이 대중교통으로 한라산의 겨울 풍경을 편하고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라눈꽃버스 1100번, 1100-1번 2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주시터미널에서 출발하는 1100번 노선은 지난해 12월 21일부터 주말 및 공휴일에 하루 24회 운행을 합니다.

한라눈꽃버스의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서 1월 1일부터 2회/일 증회하고, 1월 13일부터는 평일 12회/일 운행하여,
현재는 평일 12회/일, 주말 및 공휴일 26회/일 버스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25일부터는 서귀포등기소~어리목 구간을 운행하는 한라눈꽃버스 1100-1번을 주말과 공휴일에 하루 10회 운행하였습니다.

김태완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 “한라눈꽃버스 연장 운행으로 도민과 관광객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해 안전하게 겨울 한라산을 여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복권기금 재원을 활용하여 2025년 제1차 신혼부부.자녀출산 가구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지원 대상은 신청일 기준 7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였거나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 중 금융권에서 주택 전세자금 대출을 받은 도민 등입니다.

올해 지원금은 전년 대비 10만 원 상향하였습니다.

신혼부부 혹은 1자녀 출산가구는 최대 140만 원(주택전세대출 잔액의 1.5퍼센트(%))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자녀(2자녀 이상), 장애인, 다문화 가구는 우선 지원 대상으로, 최대 180만 원(대출 잔액의 2%)을 지원합니다.
 ※ 2024년 최대 지원금액 130만원(신혼부부.1자녀 출산가구), 170만원(다자녀, 장애인, 다문화 가구)

신청은 2025년 2월 28일까지이며,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나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제주도청 누리집(어떤 정보가 필요하신가요? → 도시계획.토지.주거 → 주거복지 → 신혼부부 및 자녀출산가구 전세이자 지원)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도 누리집(도정뉴스 → 입법.고시.공고)에서 확인하거나, 도청 주택토지과 주거복지팀(전화번호 064-710-4254), 제주시 주택과(064-728-3072), 서귀포시 건축과(064-760-3013)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첨부파일 : 공고문 HWP 양식

2025년 신혼부부 및 자녀출산가구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계획 공고문.hwp
0.77MB


한편, 신혼부부.자녀출산가구 주택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사업은 주거약자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고 주거권 확보와 자립기반 조성을 위해 2012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1,159가구에 14억 9,0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지금까지 총 1만 131가구가 94억 5,000만 원의 혜택을 받았습니다.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이번 사업이 신혼부부와 자녀 출산가구에게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도민 체감형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에게 안경 구입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안경 구입비 지원은 어르신의 시력 보호와 눈 건강 유지를 위한 것으로, 3년마다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법정차상위 대상자로,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1인당 1회 7만 원 범위 내에서 실 구입비를 지원합니다.
단, 시력교정 외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안경 구입비는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신청은 신분증, 안경구입영수증 등 기본서류와 안경원이 발급한 안경구입확인서 또는 안과 처방전을 가지고, 주소지 읍.면사무소 및 동주민센터에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다.

이번 사업은 2024년 4월 최초 시행하여 총 443명의 어르신에게 3,014만 원의 안경구입비를 지원한 바 있습니다.

한성순 노인복지과장은 “저소득층 어르신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해 안경구입비 지원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보다 많은 어르신이 일상의 편의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홍보에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