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하여 2023년 8월부터 관내 읍.면.동 거점 재활용도움센터 11개소에서 시범 운영하였던 '폐의약품 배출 제도'를 2024년 10월 14일부터 모든 재활용도움센터에서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재활용도움센터를 활용한 폐의약품 배출처 확대는 폐의약품 배출을 위해서 약국, 보건소를 별도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약국과 보건소가 없는 지역의 폐의약품 배출처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재활용도움센터에 배치한 폐의약품 수거 용기에는 폐의약품뿐만 아니라 동물용 폐의약품, 폐주사기도 배출할 수 있습니다.

★ 폐의약품 배출 방법
 일반 및 동물용 폐의약품 중 고체형은 알약이 담긴 알약 포장재 및 약봉지 그대로 배출하고,
액체형은 누출 방지를 위해 물약병 입구를 잘 봉하고 통째로 배출하여야 합니다.

 가정에서 사용한 폐주사기는 주사기 바늘 뚜껑을 결합하여 배출하여야 하며, 
바늘 뚜껑이 없는 경우 딱딱한 종이 등에 담아 배출하여야 합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폐의약품을 줄이기 위해 폐의약품은 재활용도움센터를 방문하여 배출하고, 배출 시에는 반드시 배출 방법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시민들의 생활쓰레기 상시배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재활용 도움센터' 3곳을 신설.추가하여 총 78개소를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업비 7억을 투입하여 2024년 6월 준공을 앞둔 대상 재활용도움센터는 대정읍 안성리, 남원읍 수망리, 성산읍 시흥리에 있습니다.

서귀포시 올해 신축 목표는 7개소로, 상반기 중 3개소를 설치 및 운영할 예정이며, 나머지 4개소는 하반기에 완공한다는 방침입니다. 

도움센터 확대 운영에 따라 1회용컵 회수보상제(재활용도움센터 64개소에서 운영)가 젊은 층에게, 폐농약 안심 수거 사업 등의 특수 시책은 특히 농촌지역에서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재활용도움센터 기능을 강화하고자 사업비 2억원을 투입하여 노후 시설에 대한 보수공사를 6월중 추진하고, 근무자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안전조끼와 장갑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서귀포시의 관계자는 “신설 재활용 도움센터 3개소를 상반기 내에 정상운영할 수 있도록 준비를 철저히 해 나가겠으며, 시민들의 수요가 있는 곳에는 추가 설치도 적극적으로 해 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올해(2023년) 37억 원을 투입, 재활용도움센터 15개소 조성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11개소는 준공완료 후 운영이며, 4개소는 2023년 연말까지 시설물 설치 등을 완료하고 사업을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 운영 중 (11개소) : 남광로 158(일도2동), 아란12길 16(아라동), 노형9길 15(노형동), 수원11길 21(한림읍 수원리), 소길2길 2(애월읍 소길리), 하소로 351(애월읍 장전리), 천덕로 38-9(애월읍 곽지리), 중산간서로 5951(애월읍 용흥리), 한림로 180(한림읍 금능리), 노형동 1043-1(노형동), 명월로4길 20(한림읍 명월리)

 →  운영 예정 (4개소) : 테우해안로 139(이호동), 선교로 479(조천읍 선흘리), 월정중길 11-8(구좌읍 월정리), 연동 1546(연동)

재활용도움센터 내에는 품목별 수거함, 음식물쓰레기 배출장비, 화장실 등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 신축중인 재활용 도움센터 현장 사진

 ▷ 이호동 재활용도움센터 (운영준비중) : 테우해안로 139


 ▷ 구좌읍 월정리 재활용도움센터 (운영준비중) : 월정중길 11-8


또한 운영시간 동안에는 도우미 인력이 청결히 관리하고 있어 쓰레기 배출시설에 대한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246만 8,774명이 재활용도움센터를 이용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재활용가능자원 회수보상제, 소형폐가전 무상배출, 가정용 폐식용유 무상배출 등 다양한 시책추진으로 재활용품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시민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 재활용가능 자원 회수보상제(2023년 11월 기준) : 총 255,956명(10리터 종량제 봉투 884,417매)

부기철 생활환경과장은 “재활용도움센터에 대한 시민들의 호응에 힘입어 내년에 예산 41억 원을 확보해 재활용도움센터 14개소를 조성할 계획이며 지속적으로 재활용도움센터 확충에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한림읍 수원리'와 '애월읍 소길리' 재활용도움센터가 최근 완공됨에 따라 2023년 9월 중 개장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애월 소길리와 한림 수원리 지역은 기존 재활용도움센터와의 거리가 멀어서 생활쓰레기 배출이 쉽지 않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이번 한림 수원리와 애월 소길리에 2개소 신설 추가 운영으로, 한림읍 지역에는 총 5개소, 애월읍 지역에서는 총 11개소의 재활용도움센터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상세위치(주소) : 한림읍 수원리 276-6, 애월읍 소길리 558-2

현재 내부 수거함 설치 등 시설 마무리 공사와 인력 채용 등이 완료되는 대로 9월 중 운영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한편 제주시는 2017년부터 현재까지 70개소가 운영 중에 있으며, 올해 37억 6천만원을 투입하여 4개소를 추가 설치했으며, 현재 10개소는 설치 공사를 진행하는 중입니다.

부기철 생활환경과장은 “재활용도움센터는 기존 클린하우스의 배출시간 제약 등 이용 불편사항을 해소하고, 재활용률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예산을 추가 확보해 재활용도움센터 확충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 애월읍 소길리 재활용 도움센터 전경 사진


☆ 한림읍 수원리 재활용 도움센터 전경 사진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서귀포시(시장 김태엽)는 '2021년도 지역맞춤형 재활용도움센터 설치사업'으로 예산 2,167백만원을 투자하여 거점형 재활용도움센터 4개소, 중형 재활용도움센터 8개소를 설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서귀포시청 홈페이지 www.seogwipo.go.kr/index.htm


서귀포시에는 2021년 3월 현재 43개소의 재활용도움센터를 읍면동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재활용품 요일제 배출제와 관계없이 매일 재활용품 및 가연성쓰레기,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습니다.

또한, 빈병보증금 환불, 소형폐가전 무상배출, 가정용 폐식용유 무상배출, 캔·페트 자동수거보상, 폐농약 안심처리, 재활용품 직접처리, 아이스팩 재사용, 재활용 가능자원(폐건전지, 종이팩, 캔류, 투명페트병) 회수 보상하는 8가지 시민편의 특수시책을 재활용도움센터에서 운영하고 있어 주민 호응도가 매우 높습니다.

2021년에는 송산동, 성산읍 온평리, 대정읍 보성리, 예래동에 거점형 재활용도움센터가 설치될 예정이고,

 

대정읍 하모3리, 신도1리, 일과2리, 남원읍 태흥3리, 신흥2리, 한남리, 안덕면 덕수리, 천지동 남성마을에도 중형 재활용도움센터가 설치될 예정입니다.

서귀포시관계자는 “이번 2021년도 지역맞춤형 재활용도움센터 설치사업을 통해 재활용품 요일제 배출제 시행에 따른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깨끗한 생활쓰레기 배출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