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급경사지 자연 비탈면의 소규모 사면붕괴가 발생하고 있는 '군산(오름) 일원 지역'의 사면 정비를 위하여 2024년 6월부터 공사에 착수한다고 밝혔습니다.

'군산 급경사지 붕괴위험 지역'은 비탈면 토사가 지속적으로 유실 되는 등, 집중호우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 시 사면붕괴 피해 발생이 우려되어 지역주민들로부터 사면정비 요청이 있던 지역입니다.

2022년 3월 전문가의 재해위험도 평가 결과 ‘붕괴위험 C등급’ 평가를 받았고, 2022년 8월에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받았습니다.
 → 붕괴위험 C등급 : 재해위험성이 있어 지속적 점검 및 필요시 정비계획 수립 필요

2023년도 행정안전부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으로 선정되어 총사업비 2,500백만 원(국비 1,250백만 원, 도비 1,250백만 원)을 확보하였습니다.

지난해(2023년) 1월 실시설계용역을 착수하여 사전설계검토, 계약심사 등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지난 5월에 공사를 발주하였으며, 내년(2025년)까지 사면정비 공사를 추진합니다.

★ 참고자료 : 공사 진행지역 위성지도


한편, 서귀포시에서는 올해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3개소(녹남봉, 군산, 하예)에 1,300백만 원 투자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녹남봉지구는 6월까지 정비를 완료하고, 하예지구는 올해 말까지 실시설계용역을 추진합니다.

서귀포시 관계자(안전총괄장 양창훈)는 “앞으로도 붕괴위험이 높은 급경사지를 정비하여 자연재해 위험요인를 해소함으로써 시민의 생명과 재산보호를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송악산 탐방로' 정비에 따라 2024년 5월 24일부터 7월 31일까지, 송악산둘레길을 부분통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정비 공사로 통제하는 곳은 널판(데크)을 설치한 시점(주소: 상모리 245번지)에서 부터 1전망대 까지(주소: 상모리 산2-13) 220미터(m) 사이 구간입니다.

송악산 하루 수백 명이 찾는 명소로, 송악산 둘레길 탐방로에 설치한 널판(데크)의 수명이 짧아 일정 구간씩 지속해서 정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실시하는 탐방로 정비 내용은 훼손 바닥 널판(데크) 교체, 목재난간 설치, 목재 광택도료(오일스테인) 도포(칠)로, 공사비 2억 8천만 원을 투입합니다.

송악산 둘레길은 송악산 분화구를 중심으로 원을 그리면서 걷는 구간(코스)인 만큼, 공사 기간중 방문하는 관광객은 통제 구간에 다다르면 입구로 되돌아가야 합니다.

서귀포시는 이번 부분통제로 인한 탐방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탐방로와 송악산 도립공원 일원에 현수막과 안내문을 게시하였습니다.

시 누리집 공지,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SNS)을 활용한 홍보는 물론, 마을회, 제주관광공사, (사)제주올레 등 유관기관에도 협조를 요청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정밀 안전점검 용역 결과에 따라, 낙석 위험이 있는 별도봉 산책로 '곤을동 구간'을 2024년 5월 10일부터 일부 폐쇄한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지난해(2023년) 9월 6일 낙석이 우려되는 별도봉 곤을동 구간 180미터에 대하여 임시 출입을 통제하고, 낙석 위험성 판단을 위하여 정밀 안전점검 용역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정밀안전 점검 용역 결과, 임시 출입 통제한 '곤을동 구간' 180미터 중 80미터 구간이 사면 안전등급 D등급이 나왔습니다.
 → D등급은 손상, 결함이 진전되고, 파괴 잠재성이 존재하여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며 사용 제한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상태

이에 따라 제주시는 곤을동 산책로 180미터 중 사면안전등급 D등급 구간(80미터)에 대하여 출입통제 시설과 안내판을 설치하고 전면 출입을 통제(폐쇄)합니다. 


다만, 낙석 위험성이 없는 나머지 구간(100미터)은 곤을동 4.3 유적지 전체를 조망할 수 있도록 개방합니다.

별도봉 곤을동 구간은 지난해 10월 미개설 산책로 조성을 완료하여 해안변 산책로로 우회가 가능합니다.

★ 산책로 및 우회 경로 표시 위성 사진(지도)


낙석위험 구간은 계측기를 활용하여 지속 관찰(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오경식 공원녹지과장은 “시민의 안전을 위해 낙석위험구간을 폐쇄했으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오름'을 찾는 탐방객이 갈수록 늘어나 오름 훼손 및 시설 노후화가 가속화함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오름 15개소에 대하여 1,200백만원을 투입해 2024년 5월부터 본격 정비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2024 상반기 정비대상 오름은 독자봉, 대수산봉, 가세오름, 도청오름, 영천악, 군산오름, 송악산 등 15개소입니다.

주요 정비 내용은 낡은 보행 깔판(매트) 교체 및 신설, 보행 널판(데크로드) 교체, 목재난간 교체, 안내판 설치, 안전용 줄(PP로프) 재설치, 환경 정비 등 입니다.

탐방객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쾌적한 탐방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정비할 예정입니다.

특히, '송악산 도립공원 탐방로 정비공사' 추진에 따라 일부 구간에 대하여 2024년 5월 중순부터 약 3개월간 출입을 통제할 예정입니다.
현수막 설치 등 사전에 안내 및 홍보할 예정입니다.

향후에는 추가로 정비가 필요한 오름에 대하여, 2024년 하반기 읍.면.동의 수요조사와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지속하여 정비할 계획입니다.

★ 참고자료 : 오름 정비 전(위)과 후(아래) 비교 사진


서귀포시 김군자 기후환경과장은 “오름 탐방로 정비 사업을 통하여 시민과 탐방객들이 더욱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서 탐방할 수 있도록 탐방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서귀포 자연 휴양림' 이용객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시설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업비 500백만원을 투입하여 숙박동(소나무동) 시설개선(리모델링) 공사를 2024년 5월 중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 휴양림 누리집 https://www.foresttrip.go.kr/indvz/main.do?hmpgId=ID02030013


이번 시설개선 공사는 방염 편백 루바(A=894㎡) 및 객실 창호 교체, 옥상 안전 난간대 설치, 숙박동 외부 페인트 도장(A=791㎡), 에어컨․전기온수기 교체 등 미관 및 노후시설 개선에 중심을 두고 진행할 계획입니다.

 

공사는 2024년 7월 31일까지 마무리할 예정으로, 공사기간 동안 소나무동은 예약.이용할 수 없습니다.

 

★ 관련 문의 전화번호 : 064-738-4544


한편, 서귀포자연휴양림(주소: 하원동산 1-1)은 1995년 3월 21일에 개장하여 연평균 14만명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산책로(길이(L)=8.49킬로미터(km)), 숙박시설(7동 25실), 유아숲 체험원(넓이(A)=24,522평방미터(㎡)), 편백숲 야영장(A=2,950㎡)을 조성.운영하고 있습니다.


산림휴양관리소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후시설물 점검 및 보수를 통해서 이용객들에게 최고의 산림휴양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