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2024년 8월 23일과 24일, 한라생태숲에서 '고요한 숲속의 울림! ECO(에코)-드림'이라는 주제로 산림 문화 행사를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는 도민과 관광객들이 숲속에서 펼쳐지는 음악과 특별한 숲 체험을 통하여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한 것입니다.


행사는 다양한 문화공연과 체험 활동 등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문화공연으로는 ‘뮤지컬스타K’ 우승자인 팝페라 가수 아리현, 작사작곡가겸 가수(싱어송라이터) 소랑.정온달 등이 출연하며, 숲속에서 진행하는 특별한 인문학 강연도 마련합니다. 

산림 교육 ‘우린 자파리 특공대’와 탄소중립 교육 ‘우리는 탄낭 수호대’, ‘전통 감물들이기’ 등 다채로운 교육활동(콘텐츠)도 준비하였습니다.


행사 기간에는 제주도와 이니스프리 모음재단, 이지스 자산운용이 참여하는 ‘기업참여 도시숲 확대 협력사업’ 협약식도 함께 열릴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일부 행사(프로그램)는 사전 예약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한라생태숲 누리집(http://www.jeju.go.kr/hallaecoforest/index.ht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한라생태숲 산림문화행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누구나 숲과 함께하는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소(소장 김학수)는 2024년 3월부터 한라산국립공원 관음사야영장 및 관음사탐방로 일원에서 새봄맞이 '꼬닥꼬닥 한라산 숲길 걸으멍' 휴양.체험 행사(힐링 프로그램) 운영합니다.

이번 활동(프로그램)은 산세가 깊고 숲이 울창한 관음사탐방로 입구(해발 620미터(m))에서 구린굴(해발 720미터)까지 왕복 3킬로미터(㎞) 구간에서, 주 2회(화요일, 목요일) 오전 10시에서 오후 12시(정오)까지 진행합니다.

행사를 통하여 한라산에 자생하는 야생화와 벚나무 이야기, 숲속 힐링 명상 ‘참 나에게 보내는 마음 편지’, 숲에서 듣는 한 편의 시, 숲에서 우주 보기, 신비의 천연용암동굴 구린굴에 깃든 제주인의 삶과 한라산 등 다양하고 풍부한 인문학 이야기와 자연 체험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음사 지소 야영장과 산악박물관 전시실을 둘러보고 한라산 등반을 간접 체험하는 기회와 사진 특별 기획전 관람도 할 수 있습니다.

산림휴양(힐링 프로그램) 체험은 3월 12일부터 11월 28일까지 진행하며, 산행이 가능한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참가 신청은 한라산국립공원 누리집(홈페이지) 내 프로그램 예약(https://www.jeju.go.kr/hallasan/reserv/program/course03.htm)에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문의 사항은 한라산국립공원 산악박물관(전화번호 064-710-4632, 4636)으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김희찬 세계유산본부장은 “새봄이 시작되는 3월을 맞아 자연생태계의 보고인 한라산에서의 다양한 숲 체험 활동, 산악박물관 전시, 국립공원 교류 사진 특별 기획전 등을 통해 즐겁고 유익한 자연 친화적 문화를 경험하는 기회를 누리길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서귀포시는 자연.숲에서 생태 감수성을 기르고, 생명체와의 유대감을 가지며, 숲과 친해지고 자연 친화적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연속(4회) 참여형 숲 교육인 '가을 숲 탐험대, 엄부랑 숲으로 가자'를 서귀포 치유의 숲에서 2023년 10월 14일부터 11월 4일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2시까지 4일 총 4회 운영합니다.

주요 내용으로 1회차는 한라산에 깃들어 사는 곤충,
2회차는 곤충들의 천적 집짓기 대장 거미,
3회차는 곤충의 식량, 풀, 수풀,
4회차는 곤충의 집 나무 등이 있습니다.

참여 대상은 서귀포 관내 초등학교 1~6학년(20명 내외, 대기 4명)으로, 산림휴양관리소 누리집(소통 참여란 https://www.seogwipo.go.kr/healing/)의 참가신청서(동의서) 작성 후 이메일(lotushi@naver.com)로 접수하면 됩니다.

★ 접수기간 : 2023년 10월 4일(수)부터 10월 10일(화) 17시까지(선착순 20명)

☆ 운영일시 : 2023년 10월14일, 10월21일, 10월28일, 11월4일(10:00~12:00)

◎ 첨부파일 : 참가신청서 HWP 양식

가을 상상의숲2023년 사계절 숲학교 신청서.hwp
0.08MB


○ 문의처 : 서귀포시 산림휴양관리소 산림휴양팀(전화번호 064-760-3774) 


산림휴양관리소 관계자는 “2023년 어린이 상상의 숲의 하나로 제주형 어린이 산림교육 제공 확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고 있으며, 사계절 여름 숲학교에 이어 가을 숲학교 운영에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시장 이종우)는 출산을 앞둔 임산부들을 위한 '숲 태교 체험 행사'를 2023년 9월 6일부터 9월 20일까지 매주 수요일, 총 3회기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산림복지 편의(서비스)의 첫 단계인 ‘숲 태교’ 체험(프로그램)은 치유 환경이 우수한 서귀포 치유의 숲에서 진행합니다.

☆ 치유의숲 위치(주소) : 제주 서귀포시 산록남로 2271 (호근동 산 4번지)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숲 태교는 우울함과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무력감을 개선하며, 행복감과 태아에 대한 애착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빛 마중, 쉼낭애(愛) 들다'라는 제목으로 진행하는 이 행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회차는 숲 맞이 호흡, 태교 명상, 태담 나누기
2회차는 부모됨 선언, 태아에게 편지쓰기, 숲에서 경험하는 오감을 태아와 나누기
3회차는 태교 나무 기운 받기, 지하암반수 족욕, 부부 발 마사지(※ 3회차는 부부참석)

참여 대상은 임신부(18주~30주)이며, 숲 태교 체험 접수기간은 2023년 8월 15일부터이며, 선착순 20명을 모집합니다.

서귀포시 산림휴양관리소 누리집(https://www.seogwipo.go.kr/healing/) 내에 게시한 '참가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phs8613@hanmail.net)로 보내면 됩니다.

★ 첨부파일 : 참가신청서 HWP양식

서귀포시2023숲태교 홍보 및 신청서.hwp
1.87MB


관련 문의는 산림치유지도사(전화번호 064-760-3774)에게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2023년 생애주기별 맞춤형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확대를 위해 마련된 숲 태교 프로그램에 도내 임신부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 절물생태관리사무소는 2016년 3월 15일부터 산림체험.자연환경 교육을 위하여 절물자연휴양림을 방문하는 '어린이 단체와 숲 지도교사'에 대해 무료입장 혜택을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제주 절물자연휴양림 홈페이지 http://jeolmul.jejusi.go.kr/

제주시는 어린이들이 산림의 다양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체험 탐방 학습함으로써 산림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산림에 대한 바른 지식을 습득하여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산림교육을 활성화 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절물자연휴양림은 자연림과 조림지가 조화를 이루고 임도․숲길 등 다양한 산림시설과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노루생태관찰원이 있어 산림교육으로 적합한 장소입니다.  

이에 절물생태관리사무소는 숲체험 활동, 목공예 체험활동, 노루먹이 주기체험 등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자연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에 예산 1억4800만원을 투자하여 유아숲체험원 1ha(헥타르)를 조성합니다.

어린이단체가 '산림교육' 또는 '자연환경교육'을 목적으로 절물자연휴양림을 방문할 때에는 제주시 절물생태관리사무소로 사전에 문서로 협조요청을 하면 숲지도교사 및 인솔자까지 입장료 무료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지난해(2015년) 절물자연휴양림에 방문한 어린이단체는 7,759명이며, 올해 산림교육으로 무료혜택을 받을 어린이단체는 약 1만명 정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관련 문의사항은 휴양림사무소 064-721-7421, 064-721-4075 (문의가능시간 오전 9시  ~ 오후 6시)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