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2024년도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도 지정 해수욕장 12개소에 안전관리요원을 확대 배치해 8월말 해수욕장 폐장 이후에도 지속해서 안전관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제주도는 8월 19일 도(3개 부서)*와 행정시(7개 부서)**, 해양경찰청, 해양관리단 등과 함께 2024년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 도 : 사회재난과, 해양산업과, 구조구급과
 ** 제주시 : 안전총괄과, 해양수산과, 체육진흥과 / 서귀포시 : 안전총괄과, 해양수산과, 관광진흥과, 체육진흥과 

2024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15일간, 도 지정 해수욕장 12개소에 총 42명의 안전관리 요원을 배치할 예정입니다.
각 해수욕장마다 3~4명의 요원이 상주하며, 해수욕장 폐장 후에도 예찰활동을 지속합니다. 

제주도는 지난 6월부터 수상안전 관련 기관 등으로 구성한 수상 안전사고 예방 정책협의체를 운영하여 물놀이 지역의 안전시설 점검과 순찰을 실시 중입니다. 

또한 해수욕장 12개소와 하천, 연안해역 등 총 39개소에 안전관리요원 385명과 119시민수상구조대 60명을 배치하여 물놀이객의 안전관리에 힘쓰고 있습니다.

입소문을 타고 인기를 얻은 물놀이 명소의 경우, 이용객 밀집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안전 관리요원 등을 배치하고, 해안 포구 등에서의 안전 계도를 위해 자율방재단과 공무원이 순찰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 물놀이 관리지역 (20개소) 명단

해수욕장 (12개소) 하천.계곡 (8개소)
연번 명칭 위치(주소) 규모(m) 면 적
()
연번 명칭 위치(주소) 규모(m)
길이 길이
1 협재 한림읍 협재리 2450번지선 400 100 40,000 1 월대천 외도2동 일대 350 10~30
2 금능 한림읍 금능리 2036-1번지선 300 100 30,000 2 강정천 강정동 2697번지 600 10~30
3 곽지 애월읍 곽지리 1565번지선 550 150 82,500 3 속골 서호동 85번지 200 10~30
4 김녕 구좌읍 김녕리 497-4번지선 250 100 25,000 4 중문천 중문동 2621번지 100 10~30
5 함덕 조천읍 함덕리 산14-1번지선 900 260 234,000 5 솜반천 서홍동 1219-1번지 150 10~30
6 삼양 삼양11960-4번지선 200 30 6,000 6 산짓물 동홍동 1285번지 50 10
7 이호테우 이호11665-1번지선 650 65 42,250 7 돈네코 영천동 1460번지 600 10~30
8 중문색달 중문관광로 72번길 29-51번지선 560 50 28,000 8 정모시쉼터 태평로 482번길 31 100 10~30
9 표선 표선면 표선해안로 592번지선 800 300 240,000 하천 7개소 , 계곡 1개소(돈네코)
 
10 화순금모래 안덕면 화순해안로 69번지선 120 65 7,800
11 신양섭지 성산읍 섭지코지로 88번지선 300 80 24,000
12 월정 구좌읍 월정리 652-3번지선 429 31 12,043

 

최근 항.포구를 포함한 비지정 장소에서의 물놀이로 인한 인명피해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물놀이객들에게 안전관리요원을 배치한 장소에서 안전수칙을 준수하며 물놀이를 즐길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연안해역 (19개소) 명단

연번 지역 위치 규모(m) 연번 지역 위치 규모(m)
길이 길이
1 코난비치 구좌읍 월정리 해안     11 동김녕항 구좌읍 김녕항 동측    
2 구좌세화 구좌읍 세화리 해안 600 20~30 12 쇠소깍 쇠소깍로 128 500 10~50
3 하도 구좌읍 하도리 해안 250 60 13 소금막 하효동 해안 250 60
4 조천신흥 조천읍 신흥리 해안 270 65 14 사계 안덕면 사계리 해안 800 70~80
5 우도 서빈백사 우도면 연평리 해안 300 15 15 논짓물 하예동 일대 80 20
6 우도 하고수동 우도면 오봉리 해안 300 100 16 성산내수면 성산읍 오조리 해안 600 120
7 추자 모진이 추자면 신양1리 해안 150 50 17 남원포구·태웃개 남원읍 위미리 해안    
8 한담 애월읍 애월리 해안 250 60 18 소천지 보목동 해안    
9 판포 한경면 판포리 해안     19 대포 도리빨 대포동 해안    
10 평대 구좌읍 평대리 해안      

 

진명기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각 기관에서는 물놀이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달라”며 “9월 이후에도 도내 해수욕장과 포구 등에서도 물놀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2024년 여름방학.휴가철을 맞이하여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중문 색달', '표선', '화순 금모래', '신양 섭지' 해수욕장을 운영합니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입니다.

최근 여름철 무더위 일수 증가 및 여행.여가(레저) 문화 활성화 등으로 해수욕장과 연안 해역을 찾는 도민, 관광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지난해보다 민간 안전요원을 증원.배치하였습니다.
 ※ 2023년 86명 → 2024년 90명
 해수욕장(4개소) : 65명(중문색달, 표선, 화순금모래, 신양섭지)
 연안해역(8개소) : 25명(성산내수면, 소금막, 남원포구~태웃개, 쇠소깍, 소천지, 논짓물, 사계해변, 대포 도리빨)

해수욕장마다 행정, 소방, 마을회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종합상황실을 운영하여, 해수욕장에서의 위험 상황 발생 대비 각 기관.업무별 역할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여름철 해수욕장을 찾는 도민과 관광객들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 해수욕장별 종합상황실을 운영하여 안전 공백을 최소화하고, 해난사고 예방 및 신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계획입니다.

한편, 지난해(2023년)에는 긴 장마 기간과 물놀이 명소 방문객 분산화 현상으로 2022년 대비 49퍼센트(%) 감소한 143,409명이 해수욕장을 다녀갔습니다.

☆ 참고사진 : 중문 색달 해수욕장 전경


서귀포시 관계자는 “올해에도 안심할 수 있는 해수욕장 운영을 위해 무사고를 목표로 안전하고 깨끗하게 관리하여 이용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해수욕장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2024년 여름철 해수욕장 및 연안해역 물놀이 안전사고 대비를 위하여 민간안전요원 235명을 공개모집합니다.

분야별 모집 인원은 안전요원 184명, 보트요원 35명, 보건요원 16명으로 만 18세 이상 해당 자격증을 보유한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

☆ 직무별 자격증
 안전요원 : 수상구조사, 인명구조요원, 서프레스큐인명구조요원(「해수욕장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에 따른 자격증에 한함)
 보트요원 : 동력 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
 보건요원 : 간호사 자격증 또는 응급구조 면허증

신청 기간은 2024년 6월 3일부터 6월 13일까지이며, 신청을 원하는 자는 제출 서류를 지참하여 제주시 해양수산과(전화번호 064-728-3395)에 방문․접수하면 됩니다.

신청 접수 후 면접 및 체력시험(50미터 수영, 입영)을 거쳐 선발할 예정이며,
선발받은 자는 2024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해수욕장 순찰 및 안전관리, 인명구조 등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 등의 업무를 맡습니다.

모집 구역은 협재, 금능, 곽지, 김녕, 월정, 함덕, 삼양, 이호 등 8개 해수욕장과 한담, 평대, 세화, 하도, 동김녕항, 행원, 신흥, 판포, 모진이, 하고수동, 서빈백사 등 11개 연안해역 물놀이구역입니다.

한편, 올해는 협재, 금능, 곽지, 함덕, 이호 5개소에서 6월 24일 조기 개장하며, 그 외에는 7월 1일 일제히 개장하여 운영할 예정입니다.

◎ 제주시 해수욕장별 채용 인원표

지정해수욕장 8개소

연안해역 물놀이지역
11개소
2024년 안전요원 배치 계획
합계 안전요원 보트요원 보건요원
합 계 235 184 35 16
읍면동 지정 해수욕장 188 137 35 16
한림읍 협재 25 19 4 2
한림읍 금능 25 19 4 2
애월읍 곽지 27 19 6 2
구좌읍 김녕 19 15 2 2
구좌읍 월정 16 12 2 2
조천읍 함덕 35 25 8 2
삼양동 삼양 18 12 4 2
이호동 이호 23 16 5 2
읍면동 연안 해역 물놀이 지역 47 47 - -
애월읍 한담 4 4 - -
구좌읍 평대 3 3 - -
구좌읍 세화 7 7 - -
구좌읍 하도 4 4 - -
구좌읍 동김녕항 5 5 - -
구좌읍 행원 3 3 - -
조천읍 신흥 3 3 - -
한경면 판포 7 7 - -
추자면 모진이 4 4 - -
우도면 하고수동 4 4 - -
우도면 서빈백사 3 3 - -


정성인 해양수산과장은 “우수한 민간안전요원 채용을 통해 해수욕장 및 물놀이구역을 방문하는 피서객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한라산국립공원에서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안전사고 예방과 불법행위 근절을 위하여 무단출입, 야영, 야간 산행 등에 대한 집중단속을 펼친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여름 휴가 성수기를 맞아 한라산 입산객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지정 탐방로를 벗어나 무단으로 입산하거나 불법 야영행위 등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불법행위가 증가하는 금요일.토요일 등 야간에 집중 단속을 실시하며, 감시용 드론 및 산불 무인 감시카메라도 적극 활용하여 넓은 지역 및 계곡 등도 감시하는 등 입체 단속을 실시합니다.   

주요 단속대상은 공원 내 지정되지 않은 탐방로 무단출입, 불법 야영 및 취사 행위, 야간산행, 흡연 등으로, 적발될 경우 자연공원법에 따라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한편, 2023년 상반기 자연공원법 위반 등 단속 실적은 33건으로 과태료 처분 등을 하였고, 지난해(2022년) 155건에 비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한라산 불법행위 2019년 177건, 2020년 149명, 2021년 122건, 2022년 155건, 2023년 6월30일 기준 33건(무단출입 13건, 흡연 20건)

 



김희찬 세계유산본부장은 “최근 국립공원 내에서 지정되지 않은 탐방로 무단출입, 불법야영 등 불법 무질서 행위들이 증가할 수 있다”며 “불법·무질서 행위로 환경이 훼손되지 않도록 협조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하였습니다. 

◎ 자연공원법 위반 등 단속실적(2023. 6. 30. 기준) (단위 : 건)

구분 위반행위 지역별 위반행위 유형별
어리목 성판악 관음사 영실 흡연 출입
금지
야영,취사 등 기타 형사범

2023.6 33 4 23 5 1 33 20 13 - -
2022.6 109 14 36 6 53 109 37 41 30
(애완동물2, 드론2, 야영25, 음주1)
1
(문화재보호법)



2023.6 2 1 1 - - 2 1 1 - -
2022.6 52 2 8 - 42 52 7 22 23
(야영23)
-
최근
3
현황
2022 155 24 59 11 61 155 58 63 33
(애완동물4, 드론2, 야영25, 음주1, 취사1)
1
(문화재보호법)
2021 122 35 50 32 5 122 32 76 13
(스키2, 애완동물1, 드론1, 음주3, 야영6)
1
(문화재보호법)
2020 149 38 91 16 4 149 55 85 9
(드론4, 애완동물2
취사1, 야영1, 기타1)
-

 

◎ 한라산 내 응급환자 발생 현황(2023. 6. 30. 기준) (단위 : 명)

연도별 골절 탈진 조난 사망 기타
(단순수송)
2023. 6 408 9 14 - 3 382
2022 882 12 62 - 1 807
2021 933 16 64 8 1 844
2020 1,717 17 93 8 3 1,596

 

◎ 국립공원내에서의 과태료 부과기준 표(자연공원법 위반)

시행령(개정)
법조문 상한액 위반행위 1 2 3차이상
86조제1 200만원이하 24조의3 출입 및 조사 방해(거부)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24조의4 1 퇴거명령 미준수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271항제4 , 석궁 휴대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271항제5 상행위 차량·손수레 등 이용 100만원 150만원 200만원
그 밖의 방법 50만원 75만원 100만원
271항제9 흡연행위 60만원 100만원 200만원
29조 제1 금지된 영업이나 그 밖의 행위 금지된 영업 50만원 100만원 150만원
금지된 행위 60만원 100만원 200만원
36조의8 지질공원 시설 훼손 50만원 100만원 150만원
86조제2 50만원이하 27조 제1항제6 야영행위 20만원 30만원 50만원
28조 제1 출입금지 위반 20만원 30만원 50만원
72조 제4 출입거부 20만원 30만원 50만원
86조제3 20만원이하 27조 제1항제7 주차행위 10만원 10만원 10만원
27조 제1항제8 취사행위 10만원 10만원 10만원
271항제10 음주행위 10만원 10만원 10만원
271항제11 오물투기 10만원 10만원 10만원
271항제12 외래 동·식물 10만원 10만원 10만원
86조제4 10만원이하 37조 제1 입장료(사용료)미납부 5만원 5만원 5만원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 한라산국립공원은 탐방객들의 안전한 등산을 위해 계절별로 탐방로 입산 및 하산시간은 조정하고 있습니다.

한라산국립공원 홈페이지 http://www.hallasan.go.kr/

○ 7월 8월 탐방로별 입산시간
   어리목 : 탐방로 통제소 15시, 윗세오름 통제소 14시
   영실 : 탐방로 통제소 15시
   성판악 : 탐방로 입구 13시, 진달래밭 통제소 13시
   관음사 : 탐방로 입구 13시, 삼각봉 대피소 13시
   돈내코 : 안내소 11시
   어승생악 : 탐방로 입구 18시

● 7월 8월 하산시간
   윗세오름 : 17시
   동능 정상 : 14시30분
   남벽 분기점 15시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등산)관련 각 탐방로별 문의전화는
어리목 : 064-713-9950~3
성판악 : 064-725-9950
영실 : 064-747-9950
관음사 : 064-756-9950
돈내코 : 064-710-6921  

출처 :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