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2024년도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도 지정 해수욕장 12개소에 안전관리요원을 확대 배치해 8월말 해수욕장 폐장 이후에도 지속해서 안전관리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제주도는 8월 19일 도(3개 부서)*와 행정시(7개 부서)**, 해양경찰청, 해양관리단 등과 함께 2024년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 도 : 사회재난과, 해양산업과, 구조구급과
 ** 제주시 : 안전총괄과, 해양수산과, 체육진흥과 / 서귀포시 : 안전총괄과, 해양수산과, 관광진흥과, 체육진흥과 

2024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15일간, 도 지정 해수욕장 12개소에 총 42명의 안전관리 요원을 배치할 예정입니다.
각 해수욕장마다 3~4명의 요원이 상주하며, 해수욕장 폐장 후에도 예찰활동을 지속합니다. 

제주도는 지난 6월부터 수상안전 관련 기관 등으로 구성한 수상 안전사고 예방 정책협의체를 운영하여 물놀이 지역의 안전시설 점검과 순찰을 실시 중입니다. 

또한 해수욕장 12개소와 하천, 연안해역 등 총 39개소에 안전관리요원 385명과 119시민수상구조대 60명을 배치하여 물놀이객의 안전관리에 힘쓰고 있습니다.

입소문을 타고 인기를 얻은 물놀이 명소의 경우, 이용객 밀집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안전 관리요원 등을 배치하고, 해안 포구 등에서의 안전 계도를 위해 자율방재단과 공무원이 순찰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 물놀이 관리지역 (20개소) 명단

해수욕장 (12개소) 하천.계곡 (8개소)
연번 명칭 위치(주소) 규모(m) 면 적
()
연번 명칭 위치(주소) 규모(m)
길이 길이
1 협재 한림읍 협재리 2450번지선 400 100 40,000 1 월대천 외도2동 일대 350 10~30
2 금능 한림읍 금능리 2036-1번지선 300 100 30,000 2 강정천 강정동 2697번지 600 10~30
3 곽지 애월읍 곽지리 1565번지선 550 150 82,500 3 속골 서호동 85번지 200 10~30
4 김녕 구좌읍 김녕리 497-4번지선 250 100 25,000 4 중문천 중문동 2621번지 100 10~30
5 함덕 조천읍 함덕리 산14-1번지선 900 260 234,000 5 솜반천 서홍동 1219-1번지 150 10~30
6 삼양 삼양11960-4번지선 200 30 6,000 6 산짓물 동홍동 1285번지 50 10
7 이호테우 이호11665-1번지선 650 65 42,250 7 돈네코 영천동 1460번지 600 10~30
8 중문색달 중문관광로 72번길 29-51번지선 560 50 28,000 8 정모시쉼터 태평로 482번길 31 100 10~30
9 표선 표선면 표선해안로 592번지선 800 300 240,000 하천 7개소 , 계곡 1개소(돈네코)
 
10 화순금모래 안덕면 화순해안로 69번지선 120 65 7,800
11 신양섭지 성산읍 섭지코지로 88번지선 300 80 24,000
12 월정 구좌읍 월정리 652-3번지선 429 31 12,043

 

최근 항.포구를 포함한 비지정 장소에서의 물놀이로 인한 인명피해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물놀이객들에게 안전관리요원을 배치한 장소에서 안전수칙을 준수하며 물놀이를 즐길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연안해역 (19개소) 명단

연번 지역 위치 규모(m) 연번 지역 위치 규모(m)
길이 길이
1 코난비치 구좌읍 월정리 해안     11 동김녕항 구좌읍 김녕항 동측    
2 구좌세화 구좌읍 세화리 해안 600 20~30 12 쇠소깍 쇠소깍로 128 500 10~50
3 하도 구좌읍 하도리 해안 250 60 13 소금막 하효동 해안 250 60
4 조천신흥 조천읍 신흥리 해안 270 65 14 사계 안덕면 사계리 해안 800 70~80
5 우도 서빈백사 우도면 연평리 해안 300 15 15 논짓물 하예동 일대 80 20
6 우도 하고수동 우도면 오봉리 해안 300 100 16 성산내수면 성산읍 오조리 해안 600 120
7 추자 모진이 추자면 신양1리 해안 150 50 17 남원포구·태웃개 남원읍 위미리 해안    
8 한담 애월읍 애월리 해안 250 60 18 소천지 보목동 해안    
9 판포 한경면 판포리 해안     19 대포 도리빨 대포동 해안    
10 평대 구좌읍 평대리 해안      

 

진명기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각 기관에서는 물놀이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달라”며 “9월 이후에도 도내 해수욕장과 포구 등에서도 물놀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한림읍 수원리'와 '애월읍 소길리' 재활용도움센터가 최근 완공됨에 따라 2023년 9월 중 개장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애월 소길리와 한림 수원리 지역은 기존 재활용도움센터와의 거리가 멀어서 생활쓰레기 배출이 쉽지 않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이번 한림 수원리와 애월 소길리에 2개소 신설 추가 운영으로, 한림읍 지역에는 총 5개소, 애월읍 지역에서는 총 11개소의 재활용도움센터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상세위치(주소) : 한림읍 수원리 276-6, 애월읍 소길리 558-2

현재 내부 수거함 설치 등 시설 마무리 공사와 인력 채용 등이 완료되는 대로 9월 중 운영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한편 제주시는 2017년부터 현재까지 70개소가 운영 중에 있으며, 올해 37억 6천만원을 투입하여 4개소를 추가 설치했으며, 현재 10개소는 설치 공사를 진행하는 중입니다.

부기철 생활환경과장은 “재활용도움센터는 기존 클린하우스의 배출시간 제약 등 이용 불편사항을 해소하고, 재활용률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예산을 추가 확보해 재활용도움센터 확충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 애월읍 소길리 재활용 도움센터 전경 사진


☆ 한림읍 수원리 재활용 도움센터 전경 사진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도민들의 숙원인 '택배 추가배송비 지원사업'을 2023년 9월 한 달간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해양수산부에서 올해 시범 추진하는 ‘섬 지역 생활물류 운임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 예산 65억 원 중 32억 5,000만 원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사업에 국가가 섬의 범주에 제주 본도를 지원 대상에 포함한 첫 번째 사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제주도민들은 그동안 택배 기본요금과는 별도의 추가배송비를 최소 2,000원에서 최대 1만5,000원까지 지불하는 등, 내륙지역 주민들에 비하여 적지 않은 물류비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이에 제주도는 도민들의 추가배송비 부담을 덜기 위하여 2023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택배서비스 이용분에 한해 1인 최대 6만 원 한도 내에서 1건당 3,000원씩 지원할 예정입니다.

신청을 희망하는 도민은 도청 누리집에 접속하여 신청하면 되며, 지원금은 해양수산부에서 제공한 택배 이용정보 또는 신청인이 별도로 첨부한 증빙자료를 확인해 2023년 11월 중 신청인 본인계좌로 지급합니다.
 ※ 도청 누리집(https://www.jeju.go.kr/) 내 신청 페이지는 8월 중순 중 구축할 예정

◎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 지원대상: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한 자
    1.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제주에 주민등록된 자
    2. 2023년 9월 1일 ~ 9월 30일 기간 내 택배서비스 이용 또는 소포 우편물 이용 시 별도로 부과된 추가배송비를 지불한 자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제5조제1항에 따라 등록된 택배 서비스사업자가 제공하는 택배서비스 이용자
      '우편법' 제14조 및 제15조에 따라 우체국에서 제공하는 소포 우편물 이용 시 온라인 유통사(화주) 등이 별도로 부과하는 추가배송비를 지불한 자

 ▷ 지급 제외대상
    신청인이 대한민국 국민이 아닐 경우
    제주 지역에 주민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추가배송비를 지불하지 않은 경우
    본 사업 기간 추가배송비를 지불하였더라도, 지원금 신청 당시 제주 지역에 주민등록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최명동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이번 시범 사업으로 도민의 경제적 부담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추가배송비 부과기준 및 고시 근거 마련 등 섬 지역 주민으로서 겪는 추가배송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한편 제주도는 2019년부터 도민들의 추가배송비 부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택배 추가배송비 실태조사 및 공표를 통해 도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택배업체 간 자율적인 택배비 인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택배 추가배송비 과다부담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택배 추가배송비 부과기준 및 고시 근거가 되는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 개정을 국토교통부와 국회에 지속 건의하고 있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의 대표 가을축제인 ‘제주밭담축제’가 2018년 9월 15일(토) ~ 16일(일), 주말 이틀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제주밭담테마공원에서 열립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www.jejusi.go.kr/

제주특별자치도와 도 농어업유산위원회(위원장: 강승진)가 주최하는 밭담축제가 ‘천년의 밭담 그 가치를 말하다’라는 주제로 개최됩니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세계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제주밭담 가치를 확산하고 제주의 농경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더욱 풍성하고 알찬 프로그램으로 꾸며질 예정입니다.

밭담축제 프로그램은 밭담을 직접 쌓아 보는 ‘밭담쌓기’, ‘밭담길 걷기’를 비롯해 ‘굽돌 굴리기’, 밭담 푸드 콘테스트, 밭담골든벨, 어린이 밭담그림그리기대회, 어린이 밭담쌓기 경연대회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되고, 경연대회별로 소정의 시상금도 지급됩니다.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동고량과 함께하는 ‘밭담길 걷기’를 올해에는 모두 5회로 늘려 참가 기회를 확대했다. 이를 통해 밭담의 원형이 잘 보전된 구좌읍 월정리 진빌레 밭담길을 전문해설사와 함께 걸으며 설명을 들을 수 있고, 중간중간 밭담의 아름다움을 사진기에 담을 수 있는 포토존도 마련했습니다.

특히 사전 참가신청자에게는 제주 전통 도시락인 ‘동고량’이 제공되며 참가자들에게는 별도의 기념품이 제공됩니다.
 밭담길 걷기 코스에는 전체 한 시간 동안 이뤄지며 제주소년과 메멘토, 쟈스민, 홍조밴드, 더로그 등의 버스킹 공연이 열려 색다른 매력을 전합니다.

이밖에도 돗통시체험과 빙떡만들기, 고구마굽기, 밭체험, 어린이낚시체험, 먹거리장터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릴 예정입니다.

밭담길 걷기를 비롯한 각종 경연대회에 대해서는 9월 11일까지 제주밭담 홈페이지(www.j ejubatdam.com)와 제주밭담 공식페이스북 (www.facebook.com/batdamfe stival) 에서 접수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제주밭담축제 사무국(전화 064-741-7861)으로 문의하면 됩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항공에서는 아래와 같이 2018년 9월 한달간 적용할 국내선 항공편의 유류할증료를 발표했습니다.
직전달(8월) 보다 1,100원이 올랐네요.

제주항공 홈페이지 http://www.jejuair.net/

☆ 적용기간 : 발권일 기준 2018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 적용 유류할증료 : 구간당 편도 6,600 원(부가가치세 포함)

※ 유류할증료는 항공권 발권일 기준으로 적용되며 보통 1개월 단위로 직전달 중에 공지합니다.
  우리나라 국내선 항공편의 유류할증료는 운항거리에 관계없이 같은 요금을 적용합니다.

출처 : 제주항공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