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시는 올해(2024년) 1억 5,600만 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희귀 난치성 중증질환자들의 도외 병원 진료에 따른 교통비를 1인당 연 12회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소득층의 도외 지역 진료에 따른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고자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항공료와 선박비를 지원합니다.
단, KTX(고속열차) 또는 버스 등 현지 교통비는 지원에서 제외합니다.

지원 대상은 의료급여 수급자와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 중 산정특례자로 등록한 희귀난치성 중증질환자이며,
18세 미만 아동환자 또는 80세 이상 노령환자의 경우 동반 보호자 1인까지 추가 지원합니다.

신청은 도외 진료일 또는 입원.퇴원 날짜를 기준으로 전후 일주일 이내, 탑승권과 진료비 영수증 원본을 구비하여 거주지 읍.면.동 사무소.주민센터에 접수하면 됩니다.

★ 관련 문의 : 제주시청 기초생활보장과(전화번호 064-728-2992)

한편, 제주시는 올해 현재까지(7월 말 기준) 희귀난치성 중증질환자 232명에 대해 779회.9,900만 원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한혜정 기초생활보장과장은 “경비 부담으로 도외지역 병원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대상자들이 교통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사업안내와 홍보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 및 유실.유기동물 발생 예방를 위하여, 미등록 및 변경사항 미신고 반려동물에 대한 '동물등록 자진 신고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이번 자진신고 기간 동안 동물등록 및 변경사항 신고시 과태료 부과를 면제받으며, 이를 통해 소유자의 자발적 등록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자진신고 기간은 2024년 8월 5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운영 종료 직후 10월 한달간 미등록자 집중단속 기간 운영을 통하여 미등록견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동물등록 비용은 '제주특별자치도 동물보호 및 복지 조례'에 따라 2024년 12월 31일까지 전액 무료이며,

서귀포시 관내 15개소 동물병원에서 동물 신규 등록 및 변경사항 신고가 가능합니다.

동물등록 관련 문의 사항은 서귀포시 청정축산과(전화번호 064-760-6951~3)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문혁 서귀포시 청정축산과장은 "동물등록 활성화를 위해 동물등록 자진신고기간을 운영하여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에 앞장서고 추후 안내문자 발송과 관내 홍보물 게시 등을 통해 적극적인 동물등록 유도 홍보를 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 '남원읍 문화 체육 복합센터'는 2024년 8월 한달 임시 운영기간 동안 자유 수영, 체련(헬스)장 등을 무료로 개방한다고 밝혔습니다. 

건물은 연면적 3,560평방미터(㎡), 지하1층, 지상3층 규모로 지었으며,
수영장(25미터, 7열(레인)), 체련(헬스)장, 단체운동실(GX룸), 다목적 공간(홀), 동아리방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운영시간은 평일 6시 ~ 21시,
토요일.일요일.공휴일은 6시 ~ 18시이며, 매주 목요일은 휴관.

☆ 시설 이용 관련 문의전화 : 064-900-1790~2

8월 임시 운영 기간 동안 이용자 편의를 위한 건의사항 수렴, 시설 보완 등을 거쳐 2024년 9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향후 수영, 요가, 필라테스 등 다양한 생활체육 및 문화 행사(프로그램)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2024년 여름방학을 맞아,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함께 돌봄센터' 4개소를 중심으로 초등 돌봄 편의(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다함께 돌봄센터'는 돌봄이 필요한 6세∼12세의 초등학생에게 방과후 돌봄 편의를 제공하는 곳으로, 소득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기돌봄' 뿐 아니라, 갑자기 아동을 맡길 곳이 없을 때 '일시돌봄'도 가능합니다.

센터장과 돌봄교사가 상근하면서 학기 중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방학 기간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학습지도 및 다양한 놀이, 특별 활동(프로그램) 등을 지원하여 아동을 돌보고 있습니다.

이용료의 경우 행사(활동; 프로그램)비는 무료이고, 급식․간식비는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유료로 운영합니다.

한편, 서귀포시는 돌봄 수요를 고려하여 지역사회 기관(단체) 참여와 주민 의견수렴 등 협업을 통해 공간을 지속 발굴하고 있습니다.
서귀포시 다함께 돌봄센터 설치.운영 5개년 추진계획(2021 ∼2025년)에 따른 5개소 개관 목표를 올해말 조기달성할 예정입니다.

★ 서귀포시 다함께 돌봄센터 운영 현황표

시설 명칭 개소일 소재지 (면적) 정원/현원 종사자 전화번호
1호 피어나리 다함께돌봄센터 2021. 6.17. 대륜동(71) 20/20 2 064-738-3314
2호 몽생이 다함께돌봄센터 2022.12.16. 대정읍(104) 20/20 2 064-803-2007
3호 도토리 다함께돌봄센터 2023.12. 1. 대륜동(117) 35/30 3 064-739-3315
4호 나모 다함께돌봄센터 2024. 6. 3. 동홍동(160) 35/12 3 064-732-0398
5(가칭) 다함께돌봄센터 2024.11. 예정 대륜동(132) 35/미정 3 개소 예정


서귀포시 관계자는“촘촘한 초등 방과후 돌봄지원을 통해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기반을 구축하고 아이들의 행복한 성장을 지원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시는 자전거 수리 편의(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읍.면 지역 자전거 이용자들을 위하여 '2024년 하반기 찾아가는 자전거 이동 수리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자전거 이동 수리센터는 7월 16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경면을 시작으로 읍.면 지역을 방문하여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자전거를 점검하고 수리해 줄 계획입니다.

2024년 하반기는 한경면(7월 16일, 9월 13일), 한림읍(7월 19일, 9월 20일), 조천읍(8월 9일, 11월 8일), 구좌읍(8월 23일, 10월 25일), 우도면(10월 11일), 애월읍(7월 26일, 9월 27일) 순으로 일정을 진행합니다.

정한 날짜별로 읍.면 사무소에 마련한 장소에서 고무바퀴(타이어) 구멍(펑크), 제동기(브레이크) 및 변속기(기어) 정비, 손잡이(핸들) 및 안장 조절 등 자전거 점검과 간단한 수리를 무료로 실시합니다.

단, 현장 상황에 따라 이용자가 비용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부품 교환 등).

한편, 매월 첫째 주 금요일에는 제주시청 어울림마당에서 이동 수리를 진행합니다.

제주종합경기장 내에서는 매주 수~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제주시 자전거 수리센터'를 연중 상설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8년도에 운영을 시작한 자전거 수리센터는 2022년도에는 2,737대, 2023년도에는 3,088대, 2024년도 상반기에는 1,586대를 무상으로 수리했으며, 점차 이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고병준 도시재생과장은 “지속적으로 찾아가는 자전거 이동수리센터를 실시해 나갈 계획이며, 읍.면 지역 자전거 이용자들의 편의 증진과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더욱더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