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2021년 7월 1일부터 제주지역화폐 ‘탐나는전’에 대한 부정유통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적발 시 부당이득액 환수조치와 함께 최대 2,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강력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역화폐 발행 목적인 지역 내 소비·판매 촉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저해하는 행위를 바로잡아 건전한 지역화폐 유통 생태계를 확립하기 위함입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s://jeju.go.kr/index.htm

제주도는 지금까지 탐나는전 부정유통 적발 시 부당이득액만 환수 조치해왔으나, 7월 1일부터는 '지역사랑상품권법'에 의거하여 과태료 부과와 가맹점 취소, 필요시에는 수사의뢰도 병행하는 등 엄중하게 대처할 계획입니다.

'지역사랑상품권법'에 따라 가맹점으로 등록하지 않고 탐나는전을 수취하는 행위,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 없이 지역화폐를 수수하는 행위, 실제 물품·서비스가액보다 부풀려 수취하고 환전하는 경우 부정유통으로 적발합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부정유통 차단을 위한 특별단속팀을 가동시키고 있으며, 수시로 탐나는전 유통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탐나는전 지류상품권의 경우 상품권 뒷면의 바코드를 통해 구매자의 인적사항 및 구매수량과 환전한 가맹점 정보를 추적할 수 있어 특정 가맹점에서 일정기간동안 일정금액 이상 반복 결제되는 내역을 분석하고, 부정유통 의심사례에 대한 불시 유선·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최명동 도 일자리경제통상국장은 “탐나는전은 누적 발행액 1,000억을 돌파하는 등 소비촉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면서 “부정유통 등 발행취지에 배치되는 위법행위로 적발되는 가맹점에 대해서는 엄정 대응해 올바른 지역화폐 유통문화 정립에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제주도는 현재까지 부정유통 10건을 적발하여 부당이득액 495만원에 대한 전액 환수조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2021년 6월부터 새로운 도안(디자인)을 적용한 제주 지역화폐 ‘탐나는전’ 지류형(지폐형)을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https://jeju.go.kr/index.htm


탐나는전 지류형 디자인은 지난 2021년 3월 22일 제주지역화폐 발행 자문위원회(위원장 강기춘)에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특히 탐나는전 지류형에 제주의 인물, 자연, 문화를 담아내기 위해 5만원권 제주 의인 거상 김만덕, 1만원권 돌하루방과 관덕정, 5천원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 배경을 디자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새로운 도안의 지류형 탐나는전은 4~5월 제작을 거쳐 5월 21일 판매대행점(제주은행, 농협중앙회)으로 배부되었습니다.

제주도는 기존에 발행된 탐나는전 지류형이 6월경 모두 소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총 182억 원을 투입하여 5천원권 60만장, 1만원권 137만장, 5만원권 3만장을 추가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추가 발행된 탐나는전 지류형은 기 발행된 지류형 탐나는전이 소진된 후 판매대행점을 통하여 구매 가능합니다.

제주도는 제주지역화폐 ‘탐나는전’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탐나는전 가맹점 확보 및 탐나는전 홍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탐나는전 지류형에 대한 불법 환전 등 불법 행위에 대한 단속 및 현장조사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나갈 방침입니다.

최명동 도 일자리경제통상국장은 “제주의 가치를 담은 탐나는전 지류형 출시가 도민들의 관심을 높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올해 지류형 탐나는전 발행규모는 기 발행된 지류형 탐나는전을 포함하여 총 450억 원입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는 2021년 3월 22일, 제주지역화폐 발행 자문위원회(위원장 강기춘)를 개최하여 지류형(지폐형) '탐나는전'의 디자인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청 홈페이지 jeju.go.kr/index.htm

제주도는 지난 1월 말부터 제주의 특징을 반영하고 제주만의 색깔을 지닌 지류형 상품권 디자인 개발을 착수했으며, 이번 자문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하였습니다.

새로 디자인(도안)한 지류형 상품권은 5만원권, 1만원권, 5천원권, 총 3종으로 각각 제주의 인물, 제주의 자연, 제주의 문화를 담았습니다.

5만원권에는 제주의 인물로 조선시대 나눔과 베품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도운 소상공인이며, 2007년 우리나라 5만원 지폐 인물선정에 아쉬움이 있었던 제주 의인 거상 '김만덕'을 선정하였습니다.


1만원권은 제주의 문화인 관덕정과 돌하르방을,

 

5천원권은 유네스코 자연유산의 상징인 성산일출봉을 담았습니다.

 

각 상품권 배경에는 제주의 대표적인 상징인 한라산을 중심에 넣어 제주지역화폐임을 알 수 있게 하였습니다. 

새로 개발된 디자인은 다음 상품권 제작 시부터 활용할 계획이며, 6월 경 판매대행점을 통해 선보일 예정입니다.

한편 2021년 3월 22일 현재 기준 탐나는전 가맹점은 3만2,896개소로 가입 가능한 전체 가맹점(4만7,000여 개소)의 70퍼센트(%)가 가맹점으로 가입하였습니다.

또한 현재까지 탐나는전의 판매액은 315억 원으로 총 발행액인 500억 원의 63%가 판매되는 등 탐나는전 인지도 확산에 따른 가맹점 가입과 판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제주지역화폐인 탐나는전을 판매 대행하는 농협은행, 지역농협, 그리고 제주은행 각 지점 혹은 출장소의 목록(명단)을 아래와 같이 안내했습니다.

○ 농협은행(농협중앙회) - 지점명 / 주소 순
1 제주시지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대로 110
2 제주한라대학교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라대학로 38
3 제주중앙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현길 75 
4 제주대학교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대학로 102
5 서문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문로 14
6 제주영업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사로 56
7 남문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217
8 노형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로 407
9 서광로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광로 220
10 연북로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북로 46
11 제주특별자치도청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6
12 이도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승천로 73
13 제주기업지원센터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삼로 473
14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5
15 제주시청(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광양9길 10
16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 59
17 JDC(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13-4
18 서귀포시지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중로 30
19 남제주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정로 86
20 서귀포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8610
21 광장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8694
22 서귀포시청(출)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앙로 105

● 지역농협(단위농협)
23 제주축산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문로 41
24 제주양돈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월랑로 26
25 조천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북로 240
26 함덕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와로 40
27 한림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로4길 40
28 한경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두신로 87
29 고산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고로 81
30 김녕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로 107
31 구좌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구좌로 81
32 구좌농협 우도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우도로 143
33 애월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원로 41
34 하귀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일주서로 7020
35 대정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주서로 2460
36 안덕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로 104
37 중문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제연로 199
38 서귀포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앙로 75
39 효돈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효돈로 166
40 위미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위로 126
41 남원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위로 678
42 표선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동서로 233
43 성산일출봉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주동로 4282
44 제주감귤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신중로 28
45 서귀포시축산농협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8532

 ※ 충전식 카드 구입은 12월 16일 이후부터 가능

◆ 제주은행 (지점명 - 주소 - 전화번호 순)
1 영업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현길 90, 1층(이도일동) 064-720-0365
2 제대병원출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란13길 15(아라일동) 064-717-2795
3 남문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177(이도일동) 064-722-4611
4 서문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관덕로 5(삼도이동) 064-722-3201
5 연동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광로 49(연동) 064-746-6197
6 신제주금융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대로 69(연동) 064-746-2196
7 공항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항로 2(용담이동) 064-746-0607
8 서광로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광로 175(용담일동) 064-752-7201
9 이도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352 1층(이도이동) 064-753-8531
10 동광로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광로 108(일도이동) 064-758-3146
11 노형금융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령로 11(노형동) 064-744-2111
12 화북금융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주동로 241(화북일동) 064-722-7242
13 삼화출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주로27 2층 202호(도련일동) 064-753-7851
14 서귀포금융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정로 67(서귀동) 064-733-6161
15 남원출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태위로 701 064-764-2121
16 중문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제연로 244(중문동) 064-738-0315
17 광장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8670(동홍동) 064-732-6033
18 서귀포시청출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앙로 105(서흥동) 064-763-9400
19 노형뉴타운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수덕로 49, 1층(노형동) 064-713-9161
20 한림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로 667 064-796-2811
21 모슬포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상가로 43 064-794-2463
22 연삼로금융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삼로 511, 1층(일도이동) 064-752-9677
23 연북로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북로 54(노형동) 064-711-4611
24 성산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오조로 62 064-782-2454
25 표선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동서로 259 064-787-0606
26 서귀월드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9217(법환동) 064-738-6021
27 제주특별자치도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6(연동) 064-748-5445
28 제주시청출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광양9길 10(이도이동) 064-755-7174
29 외도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정로 50(외도일동) 064-742-9353
30 아라지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545, 2층(아라일동) 064-752-4151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처음으로 발행한 지역화폐 ‘탐나는전’의 가맹점 목표달성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2020년 12월 8일 현재까지 탐나는전 가맹점을 모집한 결과, 총 9,300여건의 가맹점 신청이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올해 말 목표인 3만4,000여건의 27%(퍼센트)에 해당합니다.
 제주도는 남은 기간동안 가맹점 모집 목표달성을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할 계획입니다.

가맹점 신청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사업자등록을 한 자로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에서 휴대폰 본인인증을 통해 간단하게 신청 하거나 읍․면․동 주민센터나 농협중앙회 및 제주은행에 방문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맹점으로 신청하면 도에서는 가맹점 등록 기준에 적합한지를 검토한 후 가맹점 승인여부를 SMS알림문자메시지로 발송하고 가맹점 스티커를 배부할 예정입니다.

또한, 제주지역화폐 ‘탐나는전’ 운영대행사인 코나아이(주)와 KB국민카드사에서 본격적인 소비촉진을 위한 프로모션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탐나는전 선불카드를 발급하는 코나아이(주)에서는 탐나는전 전용 어플에서 선착순 1만명에 대해 가입완료 시 2천원 할인쿠폰, 카드신청 후 등록 완료시 3천원 할인쿠폰, 첫 10만원 충전시 5천원 할인쿠폰 등 총 1만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이벤트는 코나아이(주) 선불카드 또는 KB국민카드 체크카드 발급 후 탐나는전 어플을 이용하는 고객 대상으로 진행합니다.

탐나는전 체크카드를 발급하는 KB국민카드사는 2020년 12월 10일부터 발급받은 체크카드를 탐나는전 전용 어플앱에 등록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선착순 6천명에게 2021년 1월 31일까지 1만원 이상 결제 시 1만원을 캐시백해주고, 5만원 이상 결제 시 추첨을 통해 삼성 QLED TV(1명), LG코드제로 청소기(2명), 애플 에어팟 프로(5명) 등 푸짐한 경품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KB체크카드는 기존에 사용하던 농협·신한 계좌에 연결할 수 있고 KB페이 및 삼성페이를 통해 사용 가능해 이용자 편의성을 제고했습니다.

한편, 탐나는전은 14세 이상이면 누구나 1인당 월 한도 70만원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10%(퍼센트) 할인 또는  추가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12월 14일부터는 카드형 탐나는전 사용 시 캐시백을 지급하는 방식에서 충전 시 10%를 추가 적립하는 방식으로 변경해 충전과 동시에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기 충전한 고객에 대해서는 12월 14일 오전 9시 잔액을 기준으로 추가 혜택을 지급할 예정입니다(지류형 구매혜택 포함 70만원 이내).

제주도는 탐나는전 발행을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은 내수시장 활성화로 매출이 올라가고, 소비자들은 10% 저렴한 금액으로 물품을 구매할 수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명동 도 일자리경제통상국장은 “올해 말까지 탐나는전 가맹점 모집을 위한 행정력을 집중해 최대한 등록신청을 유도하고 있다”며 “운영대행사의 협찬을 통한 프로모션이 연말 소비촉진으로 이어져 제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