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소(소장 홍원석)는 2024년 10월 22일, '한라산, 가을 랩소디!' 탐방 행사(프로그램)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활동(프로그램)은 사계절 특별 프로그램의 가을 편으로, 한라산의 계절별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한 것입니다. 

한라산국립공원 자연환경 해설사와 함께 영실 휴게소 입구에서 윗세오름 대피소까지 탐방하며 진행합니다.
참가자들은 영실 탐방로의 명소와 한라산 자연에 대한 전문가의 해설을 들을 수 있습니다. 

탐방활동은 한라산 가을 단풍 감상, 영실에서 쓰는 가을 편지, 명승 선작지왓과 상산방목, 노루샘과 한라산 물이야기, 즉석사진기(카메라) 현장 촬영, 가을 차(구절초) 음미하기 등으로 진행합니다. 

○ 행사 세부 운영 계획표

시간() 행사 내용 진행 장소
9:00~9:10
(10)
참가자 등록, 일정 안내
안전, 주의 사항, 탐방 예절
몸 풀기(스트레칭)
탐방 시작
영실 탐방로 (휴게소)입구
9:10~9:50
(40)
한라산국립공원 소개
영실기암과 병풍바위
영실에서 만난 멸종위기 식물
영실기암 쉼터
9:50~10:50
(60)
전망대에서 한라산 가을 감상
내 마음에 쓰는 가을 편지
영실과 백호임제
영실기암 전망대
10:50~11:50
(60)
윗세오름 이름 유래
선작지왓과 상산방목
즉석사진기 기념 촬영 및 증정
노루샘과 한라산 물 이야기


족은오름 전망대, 노루샘

11:50~12:50
(60)
가을 차(구절초) 마시기
소감 나누기
만족도 설문 조사
윗세오름 대피소
13:00 해산


참가 신청은 2024년 10월 10일부터 10월 20일까지 한라산국립공원 누리집(https://www.jeju.go.kr/hallasan/index.htm) 내 행사(프로그램) 예약을 통해서 접수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 탐방안내소(전화번호 064-710-7833)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단, 기상 악화나 현장 상황에 따라 행사가 연기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참고 자료 : 지난 행사 사진


강석찬 세계유산본부장은 “사계절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계절마다 다른 한라산의 모습을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가을 프로그램에 이어 겨울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니 탐방객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소장 홍원석)는 2024년 12월 31일까지, 지소별로 '한라산의 추억속으로' 사진 전시회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1970년 3월 24일 한라산이 국내 7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전후의 모습과 등산객들의 이모저모를 엿볼 수 있는 전시입니다.

한라산의 옛 사진을 전자 복원 인화(디지털 프린트)한 20여 점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특히, 이 사진들은 '디지털 복원 기술'을 활용하여 복원한 것으로, 오랜 세월 액자 속에 보관하고 있던 귀중한 자료들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등산 문화를 비교하며, 시대에 따른 변화와 발전을 직접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전시는 올해 말까지 어리목 탐방안내소, 산악박물관, 성판악탐방안내소에서 순차 개최합니다.

 

☆ 한라산 국립공원 공식 누리집 https://www.jeju.go.kr/hallasan/index.htm

이를 통하여 한라산을 찾는 탐방객들에게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우면서, 흥미롭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강석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이번 전시회는 사진 속 한라산과 등산객, 주변 모습을 통해 1970년대 전후의 제주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지금은 찾아 볼 수 없는 진귀한 풍광과 기성세 대에게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사진을 통해 도민과 관광객들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소장 김학수)는 노후한 '어리목 탐방안내소'의 전시시설 개선사업을 마무리하고, 2024년 6월 17일 재개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선사업을 통하여 어리목탐방안내소는 제주도의 상징인 한라산을 주제(테마)로 자연학습 생태환경 교육, 한라산의 가치 있는 지식 전달, 탐방객을 위한 체험공간 등을 갖춘, 한라산국립공원 대표 탐방안내소로 탈바꿈하였습니다.  

개선한 전시공간은 지상 1, 2층의 전시실과 영상실 등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1층 현관(로비)에는 원형 영상벽(서클미디어 월)을 활용한 한라산 360°(도) 장대화면(파노라마)과 사진촬영장(포토존)을 마련하여 독특한 한라산 풍경을 보여줍니다. 

1전시실에서는 ‘유산(헤리티지) 한라산’을 주제로 한라산의 생성과정과 생물권보전 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등 세계적인 가치를 소개하고, 한라산 옛 추억과 동화상(애니메이션)을 통해 한라산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2전시실에서는 한라산의 고도별 산림생태계와 다양한 동식물을 전시하고, 자연환경 보전 의지(메시지)를 전달합니다. 

3전시실에서는 한라산 탐방 길(로드)과 함께, 새가 되어 한라산을 체험할 수 있는 인터액션 영상, 한라산 OX 문답놀이(퀴즈게임)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2층 광장(홀)에는 한라산이 보이는 개방공간(오픈테라스) 사진촬영장(포토존)과 사진 전시, 휴게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김희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의 중심인 한라산이 글로벌 탐방문화를 선도하는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2024년 1월 21일부터 한라산 일대 폭설로 삼각봉에서 약 46센티미터(cm)의 적설을 기록함에 따라 탐방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1월 26일까지 입산 전면통제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안전한 등반로 확보를 위한 사전 길트기(러셀) 작업 및 응급환자 발생 시 운송수단으로 활용하는 모노레일 선로의 제설 작업이 시급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2024년 1월 27일 한라산 전 탐방로 부분 개방을 목표로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탐방객 안전대책 추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번 방침에 따른 개방 구간은 성판악~진달래밭, 관음사~삼각봉, 어리목.영실~윗세오름, 어승생악 탐방로입니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직원을 비롯하여 제주산악안전대, 한라산지킴이, 제주산악연맹의 협조 아래 1월 25부터 1월 27일까지 탐방로 길트기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또한 응급환자 이송용 모노레일 선로 제설작업에 동원 가능한 인력을 최대한 투입하여 제설에 나섭니다.

아울러 주차장 및 진입로변 제설작업은 자체 보유장비를 최대한 활용해 제설을 진행하고, 동원 가능한 임차장비를 확보할 방침입니다.

한라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 공식 누리집 http://www.jeju.go.kr/hallasan/index.htm

한편 제주도는 기상 및 제설 상황 등을 판단해 추후 전면 개방 또는 통제기간 연장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김학수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장은 “많은 눈이 내려 불가피하게 한라산의 입산을 통제하는 만큼 탐방을 계획한 분들의 이해를 구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지난 2023년 12월 20일부터 한라산 일대 폭설로 인하여 한라산 삼각봉이 약1미터(m)의 적설을 기록하고, 현재에도 시간당 5~6센티미터(cm)의 적설량을 보임에 따라, 탐방객의 안전을 위해 오는 12월 25일까지 입산 전면통제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안전한 등산로 확보를 위한 사전 길트기(러셀) 작업 및 응급환자 발생 시 운송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모노레일 선로의 제설 작업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며, 한라산 주차장 및 진입로변 제설 작업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12월 26일까지 한라산 전 탐방로를 정상 개방할 목표로 동원 가능한 모든 자원을 모아 탐방객 안전대책 추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제주산악 안전대, 한라산 지킴이, 제주 산악연맹의 협조 아래 12월 24~25일 양일간 한라산탐방로 길트기 작업을 마무리 할 계획이며, 응급환자 이송용 모노레일 선로 제설작업 또한 동원 가능한 인력을 최대한 투입하여 총력 제설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한라산국립공원 공식 누리집 http://www.jeju.go.kr/hallasan/index.htm

○ 각 등산지점 별 문의 전화번호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 본소 064-713-9950~1
 성판악 지소 064-725-9950
 관음사 지소 064-756-9950
 영실 지소 064-747-9950
 돈내코 지구 안내소 064-710-6921

주차장 및 진입로변 제설작업은 자체보유장비를 최대한 활용해 제설을 진행함은 물론 동원 가능한 임차장비를 확보하여 제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양충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장은 “많은 눈이 내려 불가피하게 한라산의 입산을 통제하는 만큼 탐방을 계획한 분들의 이해를 구한다”며 “안전한 산행을 위해서는 안전장구(스틱, 아이젠 등) 착용이 필수인 만큼 꼭 개인별 안전장구를 착용하고 겨울 산행을 즐길 수 있도록 당부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