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주 서귀포공립미술관 소암기념관에서는 2025년 2월 18일부터 4월 13일까지, 소장품전 '소박하지만 소중한 것들'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소암기념관'이 소장하고 있는 서예작품 38점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일상 속에서 놓치기 쉬운 소박한 것들의 가치를 공유하고, 그 속에서 따뜻한 위로와 격려를 전하고자 기획하였습니다.

전시 작품은 소암 현중화 선생의 재치와 순발력이 담긴 작품을 비롯하여 자연 속에서의 여유, 일상에서 얻는 위로와 격려를 담은 작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관람객들은 소박함이 주는 따뜻함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대표작품으로는,
어렵고 쉬움은 마음가짐에 달려있다는 뜻을 가진 '난이재심(難易在心)' , 뜻과 같이 되지 않는 것이 정상이라는 의미의 '불여의정상(不如意正常)', 봄 가을 내내 좋은 날이 많다는 '춘추다가월(春秋多佳月)' 등이 있습니다.

 

☆ 소암기념관 공식 누리집 https://culture.seogwipo.go.kr/soam/


전시 관람은 무료이며,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합니다.
단, 전시관 입장마감은 오후 5시 30분이며, 매주 월요일은 정기휴관일입니다.


강동언 서귀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이번 소장품전을 통해 소소한 일상의 가치를 되새기고 마음의 여유를 찾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라며, 소암 선생의 예술 세계를 폭넓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2024 제4회 제주비엔날레(총감독 이종후)가 2025년 2월 16일 폐막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립미술관은 2월 11일부터 2월 16일까지 전시 무료 관람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제주비엔날레는 주 전시장인 '제주도립미술관'을 포함하여 제주현대미술관 문화예술 공공수장고,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아트플랫폼 등 총 5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주 전시장인 제주도립미술관은 안내대(데스크)에서 무료 입장권을 수령한 후 입장할 수 있습니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해당 기간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들을 위하여 특별한 행사(이벤트)도 마련합니다.

무료 관람 첫날인 2월 11일 전시장에 방문하는 관람객 중 제주비엔날레와 제주도립미술관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한 150명을 대상으로 '제주비엔날레 한정판(에디션) 친환경가방(에코백)을 선착순으로 증정할 계획입니다.

모든 전시 장소는 무료로 운영하며,
자세한 사항은 제주비엔날레 공식 누리집(http://www.jejubiennale.org/)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장은 “이번 비엔날레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던 건 제주도민들의 성원과 지지 덕분”이라며 “무료 개방 기간에 많은 분들이 오셔서 막바지 제주비엔날레를 즐기길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제주 서귀포시는 2024년 10월 2일부터 10월 10일까지, 서귀포예술의전당 전시실에서 '시선의 기억: 감각의 재구성' 기획전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회화, 설치, 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기억과 감각을 재해석하는 것을 내용으로, 도내.외 작가 23명의 작품 53여 점을 선보입니다.

전시는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장르)의 작품을 통하여 작가들 각자의 독창적인 시각과 예술적 언어로 기억과 감각을 시각화합니다.

이번 전시의 감독(디렉터)인 오민수 작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시선과 감각을 통해 경험하는 일상의 순간들이 예술을 통해 재구성되는 과정을 조명하고자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강민영 작가는 일상의 풍경을 기록하고 그 기억을 행위로 담아 냈으며, 강은종 작가는 일상의 찰나를 흙으로 표현하여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을 표현합니다.

고순철 작가는 ‘소금정원’을 통해 시간과 기억의 흔적을 표현하고, 권미정 작가는 변화하는 정체성을 캐릭터를 통해서 시각화합니다.

박도연 작가는 한국과 중국의 공예 유물을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하고, 윤대희 작가는 실재하는 풍경과 상상적 풍경의 경계를 탐구합니다.

★ 참여 작가 명단
강민영, 강은종, 고순철, 권미정, 김미령, 김소연, 문혜란, 박길주, 박도연, 박순민, 박준규, 박진영, 손승범, 양형석, 오민수, 윤대희, 이승희, 이율주, 이재림, 조정아, 한아, 현혜정, 홍시야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서귀포예술의전당 누리집(https://culture.seogwipo.go.kr/artcenter/)을 확인하거나,
전화(064-760-3372)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서귀포예술의 전당 관계자는 “ 자연과 풍경에서 영감을 받은 작가들의 다채로운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깊은 예술적 울림과 감각적 체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반응형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은 2024년 문화갤러리의 다섯 번째 전시로 '제주 어멍, 해녀' 작품전을 9월 1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전시는 제주에서 활동하는 캘리그라피 동호회 '글소곱애'와 우드버닝 동호회 '필스케치'의 협업으로 마련한 것입니다.

해녀에 대한 시와 글귀를 모아 만든 작품 30여 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 박물관 공식 누리집 https://www.jeju.go.kr/haenyeo/index.htm

해녀들의 이야기를 장식 글자 '캘리그라피'와 나무를 태워 글.그림을 쓰고 그리는 '우드버닝' 기법으로 제작한 작품들을 함께 전시하여, 관람객들이 두 기법의 특징과 차이를 한눈에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통해 제주해녀의 삶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반응형
반응형

시설 개선 공사를 앞두고 있는 '이중섭미술관'은 임시 폐관 전 마지막 전시로 이중섭 특별전 2부 '그리움은 그림이 되어'전(展)과 기증작품전 '이중섭과 동시대의 화가들'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귀포공립미술관에서는 이중섭미술관의 철거 소식을 뒤늦게 접한 시민과 관광객들의 전시회 연장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면서, 이번 전시를 2024년 10월 31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 공식 누리집 https://culture.seogwipo.go.kr/jslee/index.htm


운영종료 후 미술관 현재 건물은 시설 확충을 위하여 11월부터 철거되지만, 이중섭미술관의 소규모 전시와 교육은, 인근에 있는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2층과 3층에서 2027년 재개관 전까지 임시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중섭 특별전 2부 그리움은 그림이 되어' 전은 연인이자 아내였던 야마모토 마사코에게 보냈던 엽서화와, 자신의 그리움과 소망을 솔직하고 즉흥적으로 표현한 편지화 등 이중섭 작품 23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2층 기획전시실에서는 이중섭과 함께 서양화 태동기를 이끌었던 김병국, 김환기, 유영국, 윤중식 등 근현대 미술의 대표 작가작품 24점을 모아 '이중섭과 동시대 화가들'전을 함께 개최하고 있습니다.


서귀포공립미술관 관계자는 “이중섭미술관이 새롭게 신축되는 2027년 이전에 소장작품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10월까지 미술관을 방문하여 이중섭의 미술세계와 동시대 활동했던 근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하시길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반응형

+ Recent posts